안중근, 아베를 쏘다
김정현 지음 / 열림원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V 를 통해 가끔씩 들려오는 일본의 망언... 독도가 지네땅이라고 우기고,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과 그들의 사과 한마디를 듣고 싶어서 혼자만의 시위 아니 혼자만의 분투를 하는 것을 보면서 우리나라 정치를 하는 사람들에게도 신뢰가 가지 않았다. 망언을 하는 이들을 총으로 쏴주고 싶은 생각도 들었었다. 일본이 독도를 지네땅이라고 우기면 우리도 일본땅이 우리네 땅이라고 우기고 싶었다. 예전 백제에서 문물을 보내주고 건너가서 알려도 주고 일본황제의 피를 연결하기도 하였으니 일본이 우리네 땅이라고 우기는 요건은 충분히 있다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이 개같은 짓을 한다고 우리네까지 그렇게 하고 싶지는 않았기에.. 더군다나 나에게는 힘이라고는 없기에 가만히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작가님의  제목에서 부터 " 어~~ 이러한 책이 있나" 라는 놀라움을 보았다. 다시 그날을 재현하여 아베를 쏘았을 때는 맞혀서 죽이지 왜 살렸을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의술의 발전인가라는 생각도 해보지만  안중근 의사의 말대로 반성했으니 살아났나 보다라는 생각이 든다. 반성을 하면 살게 될 것이다라는 약속을 지킨 것이다. 그 와중에 약속까지 지켜주는 행위까지 하는 것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약간 바보다라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의가 중하긴 하지만 죽일때에는 확실하게 죽여주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텐데 말이다.

 

안중근 의사에 대해서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모르는 사람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략적으로 하얼빈 역에서 이등박문을 죽인 것 밖에 모를 것이다. 박물관에 가서 일일이 보더라도 그 이상에 대해서는 잘 모를 것이다. 그냥 독립운동하다가 일제의 수상을 죽인 것으로 많은 독립운동가 중의 한사람으로 기억할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더 자세하게 안중근 의사의 생각을 알수 있게 되어 좋았다.. 이렇게 재조명되지 않으면 점차 잊혀져 가는 한 사람의 의사 로만 기억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박물관에 걸려져 있는 네째손가락이 짧은 도장..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다시 기억될 것이기에 훌륭한 책으로 남게 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독립운동을 하였지만 그 가족들의 삶은 불쌍하기까지 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나라를 생각하면 망하고 나라를 생각지 않고 개인만 생각하면 잘 살게 된다는 사실을 일제시기에 알려준 것 같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그들때문에 내 나라에서 살게 된 것을 잊고 그들을 서서히 잊어가고 귀찮아 한다. 너무나 오래된 시절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것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숙제이기도 하다. 잊혀지지 않게 후손들에게 알려주고 친일적으로 부를 쌓은 사람이 나쁘다는 것을 이야기 해주며 나라사랑을 일깨워 주는 것이 남은 사람들의 할 일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