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밴던 ㅣ 어밴던 시리즈
멕 캐봇 지음, 이주혜 옮김 / 에르디아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어밴던은 서양의 이야기인데 왜 우리나라 드라마가 떠오르는 것일까? 얼마전 인기리에 방영된 이준기와 신민아가 등장했던 "아랑사또전"이 떠오른다. 아마 이야기 뉘앙스가 비슷해서일 것이다. 귀신들을 볼 수 있는 이준기.. 우리나라에 따르면 저승사자인 존을 볼 수 있는 피어스.. 그들은 은근히 닮았으면서도 또한 다르기도 하다. 책에서는 그리스 신화 중 페르세포네를 잡아간 하데스 이야기를 하지만 난 우리나라 드라마와 더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들은 귀신을 사랑하게 되었지만 그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거부하게 된다. 현실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자연스러움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인정하려 들지 않는 것이다. 계속 거부하다 보니 그들을 시기한 이들로 부터 안좋은 일이 생기게 된다. 하지만 그들은 그것이 그들을 좋아하기 때문이라 여기고 계속 거부하게 되는 것이다.
소재는 그렇게 신기하다. 브레이브킹던처럼 드라큐라와 사랑에 빠지기도 하지만 아랑사또와 어밴던처럼 저승사자와 사랑에 빠지기도 한다. 소재의 신기함을 더해주는 삽화도 엄청나게 이뿌다. 컴퓨터 그래픽을 응용한 것인지 얼마나 깔끔하게 그리고 있는지.. 그림을 보는 순간 나도 사랑하고 싶고 키스하고 싶게 만드는 아련함이 느껴지는 그림이었다. 사랑이 가득한 어쩔 수 없이 사랑하게끔 만드는 그림같기도 하였다. 그런 님이라면 저승사자면 어떠하랴..
아직까지는 좌충우돌이 느껴진다. 계속이라는 말도 없이 그렇게 어이없이 어밴던은 끝나버린다. 안타까움만 가득 남긴채..하지만 소정의 목적은 달성한채 말이다. 아무리 피어스가 거부를 해도 그녀를 지키겠다는 일념하에 존은 하데스가 도는 것이다. 지하세계 그의 공간으로 그녀를 데려가 버린 것이다. 지상에서 살아가야 하는 그녀는 그를 사랑하기도 하지만 그녀가 아직 살아가야 할 공간은 지상의 세계이니 나가고자 하는 마음만 꿈꾸고 있다.
계속이라는 말도 없고... 끝이라는 말도 없이 끝은 나지만 작가의 후기에 시리즈라는 말을 남긴다. 1부 "어밴던" 2부 "언더월드" 3부"어웨이큰" 이라는 제목도 알려준다. 그 시리즈가 기다려지는 것은... 이들의 사랑이 지하의 세계에서 그들을 향해 뻗어오는 분노의 신들로 부터 어떻게 벗어나서 그들의 사랑을 이루어 나갈지 궁금하기 때문일 것이다.
어밴던의 배경이 되는 섬 키웨스트 섬은 실제로 존재한단다. " 카요=작은 섬, 우에소=뼈" 를 뜻한다. "카요우에소"가 영국식 발음으로 "키웨스트"로 굳어졌다 한다. 실제로 뼈의 섬인 이 섬이 죽음이 있는 지하세계와 연결된다는 점은 어찌보면 자연스러움이 있는 것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