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랄라랜드로 간다 - 제10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ㅣ 푸른도서관 54
김영리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1월
평점 :
여기 자그마하고 이상한 제목의 책안에 아주 많은 것이 담겨져 있다. 사춘기 소년의 특이한 병 "기면병". 착한 엄마 아빠가 살아가는 세상을 헤쳐나가는 방법. 가족 아닌 사람들이 가족을 이뤄 살아가는 모습 등.. 우리 세상에서 다뤄야 할 것들이 가득하다. 그래서 따뜻하고 힘차고 열정있고 함께 숨을 쉬기도 하고 달리기도 하다.
기면증에 걸린 용하는 집이 너무 가난하기도 하지만 착하디 착한 엄마 아버지에게 자신이 기면증인걸 이야기하지 않는다. 중학교때부터 아이들에게 놀림감이 되기도 했지만 부모님껜 함구하고 어떻게던 혼자서 그 병에 대해 공부한다. 그에 대한 방법이 그리 신통치 않은 것뿐이라 밝히지 않고 혼자 꿋꿋이 견뎌낸다. 그러한 용하를 다른 방에 기거하던 할아버지는 알아챈다. 오래산 할아버지들만의 냄새랄까 그러한 것으로 용하가 기면병임을 알아채고 그 대책으로 일기를 쓰라고 한다. 그 할아버지 또한 가족이 없는지 용하네에게 거의 얹혀 살다시피 한다. 여관 한방에 세들어 살긴 하지만 용하 엄마에겐 한번도 세를 낸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 또한 이세상에 흔하게 볼 수 있는 독거노인인것이다.
용하 부모님은 보증으로 집을 날리고 세가족이 뿔불이 흩어 살아도 자신들을 그러하게 만든 이를 욕하지 않는다. 그저 자신의 책임인냥 무던히 지금의 삶을 살아내고 있다. 그러다가 떨어진 게스트 하우스. 그것을 지키고자 무던히 노력한다. 하지만 그것도 쉽지만은 않다. 이모의 장례식에도 오지 않던 이모의 아들이 나타난 것이다. 그는 미국에서 생활하고 있었지만 어릴때 부모에게 버림받은 상처를 가슴에 안고 사는 몸만 나이만 먹은 어른이다. 가슴에 상처를 통해서 나오는 행동은 완전 어린아이짓.. 사랑을 받지 못한 이에게서 나오는 억지투성이이다. 하지만 그 또한 착한 누이와 어릴때엔 비록 아이를 버렸을지라도 끝까지 그를 기다린 엄마의 사랑으로 다시 태어난다.
나은새... 새로운 인물이다. 용하의 학교 친구이기도 하다. 오로지 권력구조로서의 아버지하고 살아온 그는 용하를 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언니들 보다 공부를 그다지 못하는 데 공부에만 집중시키는 울 사회.. 결국 은새는 본인이 좋아하는 음악을 찾아간다.
그렇게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가는 그곳.. 그곳이 랄라랜드이다. 우리들의 랄라랜드는 어디 일까 찾아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