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만화 - 100년 전 조선, 만화가 되다
한일비교문화세미나 지음 / 어문학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일비교문화세미나팀에서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인들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어떻게 생산.분류. 유통 했는지를 연구하던중 도리고에 세이키가 그 시대에 "조선만화"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게 되어 이렇게 지금의 우리에게 다시 보여주게 되었다. 어떠한 것으로 어떠한 내용이 담겨져 있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 만화를 편집하고 만들어낸 이가 우리조선에 처음 만화라는 말을 심어주는 역할을 했단다. 그 전까지는 만화라는 글이 없었다. 또한 그는 하루 이틀 조선에서 살고 지어낸 책이 아니라 일 이년이라는 긴 시간을 조선에서 생활하면서 우리나라의 만화를 적재적소에 지정하여 그것을 우리의 모습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그네가 쓴 글은 그냥 조선을 비하하고 자기네의 우월성을 강조한 듯 하다. 그림 하나를 놓고 자신의 관점에서 무자비하게 비판하고 있다. 과연 그네가 일이년을 조선에서 살았는지 의심이 갈 정도로 조선을 모르고 있는 듯 하다.

 

일본의 우월성을 내세우면서 조선은 오감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둔함으로 미술이 무시되고 미라는 감념을 상실한 결과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 내용을 고스란히 조선만화를 설명하는 과정에 들어가 있다. 책을 읽는 내내 이 사람이 글을 사랑하고 책을 내는 문인이었을까란 생각이 머리를 파고 든다. 자신의 책을 사랑한 사람이 어찌 남의 나라 모습을 이리도 밟아내려 글을 쓸 수 있는지.. 제국주의 문인을 그대로 답습하는 듯 하다.

 

한일합방시대에 조선을 이해하고 조선풍속을 알려주는 만화를 책으로 엮어내었다기에, 또한 우리나라에 만화라는 것을 처음으로 심어주었다하기에 그나마 의식이 있는 사람으로 생각했었는데 전혀 아닌 듯 하다. 그야말로 그시대 일본제국주의 식민으로서의 삶을 그대로 살아간 사람인 듯 하다. 가령 그렇게 인자한 일본인 의사가 우리나라 사람들을 마루타로 보듯이 말이다. 전형적인 식민주의 일본제국의 문인... 그의 관점에서 본 조선만화... 이다. 그래서 이책을 보면 일본인들이 조선인들을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지금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위안부도 자기네들이 억지로 끌고갔다는 증거가 없다는 일본 우익을 보는 듯 하다.

 

조선만화는 100여년전 철저한 제국주의 일본의 한 문인이 조선을 자신의 삐뚤어진 관점에서 설명하여 놓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