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을 스치는 바람 2
이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책을 읽으면서 유독이 우리민족의 삶을 그린 책이 자주 찾는다. 아무리 소설이지만 우리네 한많은 역사를 읽는 것 만큼 재미난 것도 없다. 그러한 소설들은 허구이면서도 진실이 들어간 책이라 자주 찾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민족 중에서도 민초의 삶을 세세하게 그린이가 "조정래", 우리민족의 정신을 심어주는 이가 "김진명"이라고 생각했다. 두분의 책이 나오면 이번에는 또 어떠한 이야기로 우리를 자존심있게 그려 놓았는지가 궁금해서 바로 찾아서 읽게 된다. 그곳에 한명을 더 추가할까 한다. "이정명" 이 작가님은 별을 스치는 바람에서 윤동주 시인이 어떻게 시를 통해서 고통을 겪게 되었는지를 쓰고 있다. 그것을 우리에게 보여주면서 글은 이런것이다라는 종착역을 찍어주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어디까지나 나의 사소한 생각이지만. 그래서 누구에게 추천할 책을 찾게 된다면 이 세분의 책을 추천하고 싶다.
글은 그냥 머리로 생각해서 그것을 노트에 글로 옮겨적으면 되는 것이다..라고 단순하게 생각했다. 책읽는 것을 좋아는 하지만 글이 우리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잠시 잊고 있었던 듯 하다. 그 잊었다는 깨우침을 준것이 바로 이 책이다. 형무소에서 윤동주가 살아가는 이유가 되는 것이 글을 읽고 쓸수 있는 것이었고, 무자비한 스기야마가 자신이 살아내야하는 삶의 목표를 바꾸고 지켜내는 것이 글이다. 또한 유이치가 자신의 죄의식을 안으로 감추고 끝까지 살아서 진실을 비추어 낸것이 글이다. 형무소에서 죽음으로써 윤동주의 글이 사라질 뻔한 것을 찾아내는 것이 최대의 과제인것 처럼 말이다.
우리네 삶을 그려낸 소설들은 예전형식을 빌어 쓴 현재의 모습처럼 보일때가 많다. 진실과 사실보다는 권력에 맞추어 사실이 변화하는 과정을 그려낸 것은 요즈음도 흔히 행해지는 일인 듯 하다. 일본군국주의에 빠져 조선인들을 생체실험대상자로 생각한 의사와 간호사들. 그들은 자신들의 실험에만 신경쓸 뿐 자신이 대상자로 선정한 사람들이 인간임을 거부한다. 인간임을 거부한 사람들에게서 얻은 결과물은 인간이 아닌 이들에게 적용되어야지만 그 효력을 발생한다는 사실을 망각한다.
그것이 요즘 뉴스에서 자신을 위해서 서민들을 힘들게 한 사람들과 많이 다르지 않다. 인간애가 결핍한 상황에서 머리좋은 사람들이 이세상의 높은 곳에 오를때에는 과학발전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네 삶을 후퇴하게 만드는 것 같다.
이책을 접는 순간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네 삶과 일본이 이긴다는 이념하래 뭉쳐진 그때의 사람들의 삶이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낀다. 그속에서 살아내는 일은 자신의 꿈 밖에 없는 듯하다. 꿈을 꾸지 않는 사람이 살아가는 세상은 그때의 형무소의 삶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