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눈물 - 슬프도록 아름다운 삶이 춤추는 땅
장형원.한학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프리카의 눈물은 북극의 눈물, 아마존의 눈물과 같이 삼대눈물을 MBC 에서 TV로 다큐멘터리 제작 방영되었던 것이다.  그 중에서 아프리카의 이야기를 제작할 당시 PD의 눈으로 보고 느끼고 한 과정을 책으로 엮어낸 것이다. 카메라에 담긴것도 있겠지만 담지 못한것.. 왜 담을 수 없었는지를 이야기 해 주고 있다.

 

아프리카 하면 우리보다 못사는 나라로 먼저 떠오르기도 하지만 자연환경을 발전하지 않고 온전한 상태로 보호하면서 살고 있으면서도 자연의 사막화로 인한 초원을 잃어 가장 자연으로 피해를 많이 보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그곳의 삶에서는 지금 우리나라에서 아둥바둥 아이들에게 가르키는 교육도 문화도 발전도 정지되어 있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것없이도 아주 여유롭게 살아가는 그들을 보면서 문명에 쫓기면서 사는 우리는 어떠한가를 생각해보게 된다.

 

그러한 곳에서는 우리문화를 접하지 못했기에 동경하지도 않는 순수한 아프리카 부족들이 많다. 그들 한 부족 부족 이야기를 PD 는 우리들에게 이야기해주고 있다. 어떠한 부족은 피를 흘리면서까지 문신을 한다. 마취도 없이.. 그것을 보면서 우리네 사람들이 마취라는 문명의 이기를 조금 누리긴 하지만 성형과 같다라고 이야기한다. 아픔을 참고 문신을 하는 이유도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또한 입술에 커다란 원 즉 입술원반 아발레를 차고 여인을 보면서 비문명이라고 욕하기 보다는 그들의 미의 문화라는 것을 인정해줘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중요한 곳을 가리고 나머지는 거의 벗다시피하는 그들도 혼전순결을 중요하는 부족도 있다. 혼전에 순결하지 않으면 커다란 벌을 주기도 한다. 또 소를 잡지 않고 소피를 마시면서 그곳에서 단백질을 섭취하기도 한다. 그들의 눈에 우리나라 사람들을 본다면 요즘같이 혼전순결을 하지 않아도 벌이 따르지 않고 오랫동안 소를 키울수 있는 것을 바로 잡아서 고기로 먹는 우리들이 야만인으로 보일수도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에 사는 그들을 보면서 우리가 오롯이 주장하는 것들이 정답이 아니라는 느낌이 든다. 무조건 발전만 치닫는 것은 오른 것이 아닐것이다. 우리네의 무분별한 발전이 환경오염이 되고 그것으로 인해 사막화가 심해지면 우리가 아닌 누군가는 피해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그 피해를 보는 이가 우리가 아닐지라도 언젠가는 우리도 피해가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니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그들의 삶을 조금은 배워 자연친화적으로 살아가는 법을 배우면 어떨까란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