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찾은 사신 우리 역사 속의 숨은 일꾼 이야기 4
정명림 지음, 이원태 그림 / 풀빛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찾은 사신을 펼치는 순간 우리집을 보는 듯한 착각에 빠졌다. 5~6학년쯤 된 재원이는 게임에 완전 빠져서 어떻게 하면 게임을 할 수 있을지를 찾고 있다. 재원이 엄마는 또 어찌하면 그것을 막을까 계속 아이에게 "게임하지 말라" 고 소리친다. 아이도 스트레스겠지만 엄마도 스트레스다. 그 광경이 우리집에도 있다. 울아들에게 게임 하지 말라고 소리치는 엄마가..

 

그렇지만 그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웃 아파트에 사는 이모가 역사물로 게임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적어 놓았다. 그러니 이책을 읽으면 역사 특히 각 시대별 사신이 한일과 게임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알아볼 수 있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책이다. 무조건 무익하다고 방해만 하는 엄마들에게 게임도 공부와 관계된 게임이 있음을 알려주기도 한다. 덕분에 게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도 알게 되었다. 그러한 일련의 과정을 겪으면서 게임이 하나 완성되는 것이다.

 

이모와 재원이는 사신을 찾는 게임을 하나 만들어가면서 그 사신에 대해 묻고 생각하고 답을 가르켜주는 방법으로 공부를 해 나간다. 각 시대별로 사신이 누가 있었으며 사신이 한일을 조목조목 이야기해준다. 사신이 한 일을 주목적으로 하지만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한일 합방때까지 전체적으로 요약해서 간략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세세한 사건을 구체적으로 나열한 것은 아니지만 사신이 한일로 대충적인 역사적인 사건은 알 수 있다. 이 한권의 책이 역사를 싫어하는 아이들로 하여금 우리나라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가르켜 줄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아이와 함께 할 줄 모르는 어른들에게 아이와 함께 하면 이렇게 유익한 공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책이기도 하다. 게임만 좋아하는 아이에게 게임안의 정보를 공유하면서 역사에 대해서도 차근차근 물어보고 생각할 시간을 주는 것이다. 흔히 어른들은 아이에게 시키기만 하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주지 않는다. 뭔가를 물어보면 바로 대답이 나오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러니 아이들과 부모간에 서로 의사소통이 단절되어버리는 것이다.  함께 공부하고 생각할 시간을 주는 것만이 아이와 계속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사신의 역할이 나라간의 외교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외교란 자체가 나라간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 간의 유대관계 즉 소통도 외교에 해당하는 일이기도 하다. 고전을 알려준 사신 찾기에서 현대의 외교를 알려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