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 파는 아이들 문학의 즐거움 37
린다 수 박 지음, 공경희 옮김 / 개암나무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이 부족한 나라에 우물파는 사람들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다. 어느 책을 통해서일 것이다. 이야기를 쓰는 사람의 부모님이 우물을 파러 세계로 돌아다니기에 잘 만날 수 없다고.. 그래서 단순히 많은 구호단체중의 하나에 소속되어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들의 실체를 이 책을 통해서 만나게 되었다. 실제의 이야기기도 하다.

 

1983년에 수단에 전쟁이 시작되어 많은 아이들이 부모를 잃고 자유를 찾아 에티오피아로 케냐의 난민촌으로 향했다. 그곳에 가면 전쟁의 공포속에서 생활 할 수 있게 되니까. 그래서 전쟁으로 인심또한 좋지 않은 사람들을 따라 많은 나날과 시간을 보낸다. 남수단에서 에티오피아로 가던 살바는 11살되던해에 학교에서 공부하던중 마을에 폭격을 맞아 숲으로 도망간다. 그때부터 많은 눈총을 받으면서 에디오피아 난민촌을 향해 떠나간다. 어느정도 자라 17살이 되던해에는 직접 아이들을 이끌고 케냐의 난민촌을 향해 또 살기위해서 걸어간다. 그렇게 많은 아이들을 서로 서로 격려해가면서 케냐의 난민촌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미국갈 기회를 얻어 미국에 입양된다. 미국에서 공부하던중 부모님이 살아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그러면서 자신의 나라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실행에 옮긴다.

 

니아는 수단에서 누어족이라는 부족에서 딸로 태어났다. 그들은 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물이 많을 때에는 연못가에서 집을 짓고 살게 되고 물이 적을 때에는 조금 떨어진 곳에 집을 짓고 산다. 물이 적을 때 연못과 너무 가까운 곳에 살면 서로 투쟁하고 전쟁으로까지 번지기 때문이다. 니아는 아침에 눈을 뜨면 밥먹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물통을 이고 연못과 집사이를 반복적으로 왔다갔다 한다. 그렇게 하루의 8시간을 걸어서 물을 떠와도 제대로 된 물량을 얻기가 어렵다. 가는길을 땡볕이 내려쬐는 사막길.. 그길을 하염없이 걸어가서 연못의 진흙물을 간신이 담아 온다. 그런 그들에게 우물이 생긴다. 이제 8시간을 걸려 물을 뜨러 가지 않아도 된다. 더군다나 가시지 않는 갈증이 우물물로 인해 해소된다.

 

니아의 누어족과 살바의 딩카족은 서로 원수간이다. 서로에 대해서 전쟁을 한다. 하지만 살바는 우물파는 어른으로 거듭나서 자신의 딩카족 마을에도 우물을 팠지만 원수족인 누어족의 마을에도 우물을 판다. 두부족간의 전쟁도 베품의 사랑으로 변해간다.

 

예전엔 항상 물이 풍족한 우리나라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먹을 수 있는 물이 많이 부족한 나라이다. 그렇지만 우리들은 아프리카처럼 그렇지는 않다. 물이 부족한 아프리카엔 물이 부족한 곳이 많다. 그들에게 조금이라도 단비를 주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것을 아끼며 지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