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빔밥 유랑단 - 255일, 세계 24개 도시, 8770그릇, 100번의 비빔밥 시식회 성공 스토리
비빔밥 유랑단 지음 / 담소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5명의 청년이 255일동안 세계 15개의 나라를 돌면서 100번째의 비빔밥 테이블을 차려 직접 만들어서 시식시킨 이야기이다. 5명의 청년중에서 남자셋,여자둘의 조합이다. 또한 멀쩡하게 잘 나가는 직장을 그만두고 미래에 대한 투자로 모아둔 모두를 비빔밥 알리기에 모두 투자해버린 어른 셋과 군에 다녀와서 잠시 일자리를 구하는 과정인 한 청년과 현재 대학교에 진학중인 학생 한명.. 이렇게 그들의 조합이 이뤄져 있다. 좀더 열정적인 일을 추구하기 위해서 일을 근만둔 그들의 젊음이 부럽다는 생각을 해본다.

 

아무나 할 수 없는 일들을 이들은 과감히 해 나간다. 지금 현재에 안주해 가는 자신들에게 채찍질하면서 좀더 편안해지려는 현실과 타협하기 싫어서.. 자신들의 젊음과 열정..그리고 꿈을 향해 과감히 사표를 던진다. 그리고 그 꿈을 향해 열심히 생각하고 발로 뛰어 그 꿈이 현실이 되도록 노력한다. 자신들의 돈을 투자하고 투자자를 모으고 하는 일련의 모습을 엿보면서 훗날 울아들이 이들처럼 행동하려 할때 무조건적으로 말려 아들의 꿈을 저버리는 행동을 하면 걸림돌은 되지 말아야 겠다라고 다짐해본다.

 

비빔밥 유랑단은 세계적으로 좋은 일을 하고픈 사람들이 자신들의 꿈을 찾는 과정에서 서경덕 교수의 우리문화 알리기 코드와 맞아져 순수하게 우리 음식을 알리는 역할을 하기 위해 떠나는 순수노동이다. 이것때문에 돈이 생기는 것도 아니고 관광을 맘껏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열악한 환경에서 우리나라 음식을 알려 우리나라를 세계에 좀더 알리기 위함이다. 우리나라를 세계 사람들이 알수록 우리나라 독도알리기도 자연스럽게 할수 있을것이기 때문이다. 세계로 향하는 우리나라라고 하지만 아직 세계에서는 우리나라를 잘 모른다. 예전처럼 일일이 어느곳에 있다라고 설며하지 않아도 알고는 있겠지만 일본의 스시만큼 우리나라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알리기 위해서는 우리의 음식문화를 먼저 알려 전파적으로 우리나라를 알리는 것이 한 방법이리라.

 

이 책을 통하여 이들의 노력과 열정. 그리고 젊음도 부럽지만 돈이 되지 않아도 독도알리기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사비로 해외에 가서 우리나라 알리기를 많이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행도 아니고 누군가가 돈을 주는 것도 아닌 일에 돈과 열정 그리고 자신의 시간까지 투자하여 우리나라를 홍보하는 사람들이 신기할 뿐이었다. 지금 내게 그런 일을 시킨다면  지금의 내 삶을 포기하고 선뜻 그것에 동조하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이들은 기꺼이 그것을 행하고 있으며 현재의 젊음을 소중하게 다루고 있음을 느낄수 있었다. 그들의 모습이 우리나라의 모습이고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리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