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만든 왕따, 소아비만 - 비만 쇼크, 박민수 원장과 함께하는 소아비만 탈출 프로젝트
박민수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소아비만이 이 책을 읽기까지 이렇게 무서운 병인지 몰랐다. 우리 아이는 살을 찌우고 싶어도 찌지 않아 고민이 많지만 최근에 주위에 한명의 친구를 보고 대체 어떤지가 궁금하였다. 그런데 소아비만이 친구들과의 문제에서 왕따 문제로까지 가게 되고 또한 그 모든 병을 동반하게 하여 부모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 보내게 만드는 일이라는 말에 소름이 끼친다.

 

소아비만이 소아성인병도 가져오지만 사춘기가 빨리 오게 한다. 사춘기가 빨리 오면 성조숙증도 올수 있으며 아이의 성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10살 전후로 해서 성조숙증이 찾아오면 성장이 둔화되고 골연령이 높아지면서 성장판이 조기에 닫혀 멈출 수 있단다. 그러니 예전부터 내려져 오는 살이 찌면 나중에 키로간다는 말은 맞지 않고 잘못 전해진 속설이란다.

 

또한 소아비만의 가장 큰 문제는 소아우울증을 동반한다는 것이다. 집중력이나 자기주도성이 떨어지고 생활반경에서 벗어나기 싫어하며 자존감도 엄청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성격의 조절이 불가해져 폭력성 까지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대인관계 또한 잘못된 방향으로 전환되어 지게 된다.

 

여기 예시는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울아들의 친구중 고도비만 아이가 있었다. 그 아이는 머리가 좋아 공부는 무지 잘하지만 몸이 뚱뚱한 만큼 바깥 행동은 꺼린다. 어릴때는 그나마 괜찮았지만 초등 고학년이 되면서 서서히 소아우울증이 나타난다. 게다가 사춘기까지 겹쳐 그 아이의 엄마가 많이 힘들어 하는 것을 보았다.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이렇게 무서운 이야기만 담겨있는 것은 아니다. 경각심을 일깨워 주면서 엄마가 아이에게 소아비만 탈출을 위해서 해줘야 할 일들이 나온다. 부모뿐만 아니라 나라차원에서 소아비만 탈출을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라고 이야기 한다. 소아비만이 많이 나타나는 계층이 소득층이 낮은 곳이란다. 소득층이 높은 사람들은 아이들에게 소아비만이 되기전에 관리에 들어가지만 소득층이 낮은 곳에서는 부모들이 옛날 사람들의 잘못된 속설만 믿고 내버려 두게 된다. 그러니까 병이라는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다.

 

인식한뒤에는 소아비만인 내아이를 다독여 치료하는 방법을 소개해준다. 아이는 엄마에게 고민을 말하지 않는 성질이 있지만 엄마가 관리하고 보듬어 안게 되면 엄마의 품으로 돌아온다. 그래서 제대로 된 음식과 생활습관 그리고 수면습관까지 엄마와 함께 한다면 내아이의 소아비만은 쉽게 고칠 수 있을 것이다.

 

소아비만을 병으로 인식하고 함께 노력하는 것만이 내아이도 살리고 나도 살 수 있는 비결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