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를 지배한 여인들 - 천하는 황제가 다스리고, 황제는 여인이 지배한다
시앙쓰 지음, 강성애 옮김 / 미다스북스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어릴땐 황제나 황궁이나 왕궁이면 마냥 좋았었다. 그들은 하늘에 있는 새도 떨어뜨릴 만큼 바라보기도 무서운 존귀한 존재였다. 하지만 어느때부터인가 궁중의 피비린내 싸움에서 왕이 죽어나가는 이야기를 듣고 부터는 그리 좋게만 보이지는 않았다. 그 존귀한 자리에서 자기목숨하나 또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 목숨하나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평범한 삶이 오히려 더 정감이 가고 부러움의 대상이 되었다.

 

"황제는 천하를 다스리고, 황제는 여인이 지배한다" 이말은 어느시대 어느 순간에 나온말인지는 모르지만 이제는 거의 상식수준에 버검간다. 아무도 이말에 대해서 이의도 가지지 않고 그저 말 그대로 믿어버린다. 그렇다. 황제는 천하를 다스리려고 준비한다. 준비하는 동안은 아주 강건하게 행동을 하지만 천하가 황제의 손으로 들어오면 눈길은 자연 다른 곳으로 방향을 전환한다. 어떠한 여인을 만나느냐에 따라 황제 자신이 대접을 받을수도 있고 여인의 이용물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은 단순히 황제를 지배한 여인들만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왜 중국의 황제들이 그렇게밖에 할 수 없었는지 배경부터 설명해준다. 황제가 자신의 자리가 안정된 순간부터 자신의 핏줄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서 건드릴수 있는 여자는 다 건드린다. 그것은 황제의 일이고 또한 중국의 미래가 담겨져 있는 일이기에 신하들도 황제들의 향락을 옆에서 도와준다. 정치도 중요하지만 그 나라의 혈통을 잇는 일이 우선이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어떠한 여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황제의 판도가 달라진다. 현명한 여자를 만나면 본인도 기쁘고 나라도 유지 되지만 양귀비, 무측천, 가남풍 황후, 만씨부인 같은 여자들은 본인의 부와 권위만 추구했지 황제의 안녕은 추구하지 않은 듯 하다. 여자인 내가 읽기에도 무섭고 사악하다고 밖에 여기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여인의 득목에 칠거지악 이라고 절대 투기하면 안된다라고 이야기하는데 중국에는 그러한 것이 없었는지 아님 여인이 권력을 가지니 법 또한 여인 중심으로 변한건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화려한 궁궐에서 황제의 총애를 받은 여인이 다른 여인들에게 보낸 질투로 인한 살벌한 행위는 악의 화신이라고 밖에 볼 수가 없다.

 

궁궐안에서 정치적으로 정적은 무조건 배척하는 것은 일리가 있다지만 여인들의 세상에서 더군다나 임신한 여자들에게 그만큼 사악할 수 있다는 것은 속좁은 여인이기에 가능하리라. 아무리 통큰 여자지만 미래를 보는 안목은 좁아 보이는 것은 어쩔수 없는 그들의 행동때문이다. 자신이 권위를 가지고 있을때 다른이에게 나쁜 행동을 했기에 권력이 떠났을때 자신의 처지를 생각해서 더 잔인해지는 듯 하다. 보통의 사람의 생각이라면 더 인정을 베푸는 것이 상식적인 행동이겠지만 말이다.

 

여하튼 상식을 넘어선 여인들이 황제를 지배했으며 황제들은 그녀들에게 충분한 이용이 되어 주었다. 그 단면으로만 보면 오히려 그녀들에게 박수를 보내겠지만 그녀들의 최후와 그 뒤세상은 그리 밝지 못했으니 씁쓸할 따름이다. 자신의 재능을 좋은 곳으로 베풀어 후대에도 칭찬받을 수 있는 여인이 나왔으면 한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살짝 씨는 보이는 듯 하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