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빛나는 밤 - 아빠와 함께 천문학 여행
울리히 뵐크 지음, 전대호 옮김 / 봄나무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천문학자인 아빠가 6살 딸이 흔히 물어보는 것을 알기 쉽게 풀어내기 위해서 기록한 글이다. 그러고보면 아빠들은 대단한 것 같다. 요즘 텔레비젼에서 영문학자인 아이가 영어를 싫어해서 만화로 영문법을 알려주는 책을 만들었다고 선전하는 것을 보았다. 이 책도 그러한 맥락이 아닌가 싶다.

천문학 하면 보통 어렵게 생각한다. 그렇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천문학에 관한 맞지 않은 가설을 가지고 퍼뜨리기 일상이다. 그러한 현상을 보면서 천문학자인 아버지는 탐탁지 않게 생각한다. 6살 딸이 아빠에게 질문하는 형식 즉 대화 형식으로 간단하게 아이에게 설명하면서 나머지 사람들이 알아야할 것은 부연적으로 설명한다. 하늘의 수많은 별중에서 어떻게 별하나에 이름이 작명되어지는 것인지도 더불어 설명한다. 덕분에 평범한 우리가 천문학에 좀더 다가가는 역할을 한다.

 천문학자하면 자연스럽게 하얀옷을 입은 망원경을 가진 딱딱하게 보이는 아저씨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여기 슈텔라의 아버지는 천문학자이기 보다는 사랑하는 딸을 둔 아버지로서 따뜻함을 보여준다. 슈텔라에게 안좋은 지식을 알려주는 슈벤이야기를 들을때에도 보통의 아버지들은 그건 아니야 라고 강압부터 하는데 슈벤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잘못되었음을 다른 이야기를 통해서 알려준다. 보통의 아버지보다 더 따뜻하다는 점에서 대단함을 느낀다. 연구만 하는 아저씨가 아닌 사랑하는 딸이 우주를 좀 더 알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어렵고도 어려운 천문학 이야기를 딸을 사랑하는 아버지 덕분에 좀더 부드럽게 우리에게 다가온다. 보통의 아버지들은 우주에 대해서 하늘에 대해서 별에 대해서 아이들에게 알려주지 못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푸르고 둥그런 하늘..우주에 관해서 어릴때부터 관심을 갖고 표현을 한다. 가장 많은 질문은 반짝이는 별에 관한 것이다. 그 별이 푸르른지 노르스름을 띠는지는 평상의 부모라면 말하기가 아주 힘든 것이다. 그렇게 아이가 묻는 것을 부모가 모르게 되면 대화가 단절되고 아이들의 꿈은 점점 현실에 가깝게 변화되는 것이다. 

 아이들의 꿈을 키우고 현실에 안주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들도 많은 것을 알아야 한다. 거기에 조금이라도 대화를 하고 싶은 부모님이라면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우리 아이의 꿈을 현실에 안주시키기 보다는 우주만큼 넓은 꿈을 안겨주기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