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의 서울 산책 - 오세훈의 마지막 서울 연가!
오세훈 지음, 주명규 사진, 홍시야 그림 / 미디어윌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카메라 하나 메고 자전거를 타던지 걸어서 하던지 간에 우리가 사는 주변을 산책하면서 기록하는 것은 좋은 듯 하다. 보통은 차를 타고 휭하니 지나가버리니 지나가버린 거리도 우리 머리속에는 다시 기억되지 않는다. 발품을 팔아서 돌아다니면 지나가버려 의미없는 것들도 아름답고 의미있게 다가오는 듯 하다. 

오세훈 시장님의 서울 산책을 읽고 나두 내가 사는 동네를 한번 발로 돌아볼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시장님이야 사전에 많이 갔던 지역이라 어쩌면 알수 있는 지역이지만 나는 내가 사는 동네를 다녀 보지 못한 듯 하다. 그냥 내가 평소에 왔다갔다하는 길만 다닐뿐 조금만 멀다고 느끼는 거리는 차로 휑하니 가버리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나는 촌에 산다. 서울과는 한참이나 떨어진 곳이다. 그래서 서울에 대한 환상이 있다. 왠지 내가 가보지 못한 서울은 뭔가가 있고 대단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우린 연예인을 한번 보려면 살아생전에 힘들지만 서울사람들은 하루에도 몇번씩 볼 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하는 서울이다. 많은 사람들이 힘들다고 하지만 그래도 볼 것이 많은 서울에 대한 환상은 지워지지 않는다.

그러한 환상을 "오후의 서울 산책"과 함께 하나 하나 풀어가고 있다. 아니 더 다듬어 가고 있다고 해야 겠다. 지은 님의 카메라에 맞춰서 그림을 보고 그 사람의 생각과 소개의 말에 따라 그곳을 함께 보게 된다. 누가 그랬던가? 사랑은 한곳을 향하여 보는 것이라고.. 이것도 같은 의미인듯 하다. 물론 지은님과 사랑을 하지는 않지만 지은님이 바라보는 서울을 사랑하게 된 것 같다. 

서울을 가보지 못한 내가 지금 서울을 상경한다면 관광지에 가서 관광하는 것처럼 겉만 보고 올것이다. 하지만 이 책과 함께라면 내가 보지 못하는 내면.. 그곳의 냄새를 함께 호흡하고 올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서울에 살지 않아도 서울에 사는 느낌이 들 정도로 상세하고 세심하게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북촌마을을 소개할땐 왠지 그곳에 있는듯했으며 그곳에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나이가 점점 들어갈 수록 현대의 집들보다 옛날 우리 조상들이 살던 건물이 점점 좋아지고 있다. 그런의미에서 북촌에 정착해서 살도 있는 사람들은 예전에도 양반으로 잘 살아왔겠지만 현재에도 잘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른 이들은 그곳에 살고 싶어도 살지 못하기에 부럼움만 간직할 뿐이다. 그렇기에 그곳을 현대화로 물들이지 말고 계속 유지되어가기를 빌어본다.


다음엔 이렇게 책으로, 다른 사람의 눈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직접 그곳을 발로 밟을 날을 기약해 본다.


(이 서평은 미디어윌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