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큘라
브램 스토커 지음, 홍연미 옮김, 찰스 키핑 그림 / 열림원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에 섬뜩한 느낌이 든다. 사람의 살들은 다 사라지고 뼈만 앙상하게 남은 모습이 사람이라기 보다는 괴물같은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렇다. 여기에서 드라큘라는 괴물이다. 몇백년을 살아왔기에 죽지도 살지도 않는다. 늑대나 박쥐, 쥐등을 마구 부린다. 게다가 그것들로 변신할 수도 있다. 생기에 따라 더 젊은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것이 말로만 듣는 드라큘라이다.
 
지금 현재는 아니고 약간 과거인 세계.. 백작이 존재하고 드레스를 입은 아가씨가 있고 명백한 신분제가 있는 시대이다. 그런데도 현재인 듯한 느낌이 들며 현재에도 어느곳인가에는 존재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정도로 감정서술이 자세하면서 섬뜩하다. 곧 어디선가 튀어나올것같은 생동감도 있다.
 
이 책은 흔히 드라큘라 이야기처럼 서술형이지가 않다. 한사람 한사람의 일기형식이다. 그것도 사건전개에 따른 시간에 맞춤형으로 되어있다. 조너선 하커의 일기로 부터 미나의 일기.. 수어드 박사의 일기이다. 개인의 일기속에 그들이 겪어야 했던 일들..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던 이야기..생활방식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특히나 수어드 박사는 타자시절에 축음기에 녹음하는 구술형 일기를 쓴다. 물론 정신과의사라는 특권계층이기도 하지만 그당시에도 개인적으로 녹음할 수 있었다는 사실에 약간은 놀랍기도 하다.
 
책을 읽다 보면 어찌해서 이렇게 정리되어있는지가 나온다. 황당한 일을 당하고도 당황하지 않고 이왕 벌어진 일이기에 최선을 다해서 해결을 찾으려는 그들의 노력은 이야기속이지만 우리네가 배워야 할 일인것 같다. 현재의 우리는 자그마한 일을 겪고도 벌어진 일을 해결하기 보다는 남을 탓하기 바쁘기 때문이다. 이렇게 속절없고 댓가없는 일을 목숨걸고 하는 사람은 얼마 없으리라. 오히려 바보짓이라고 욕하게 된다.
 
이 책은 고전이라고 하지만 현재의 책에 밀리지 않는다. 고전을 읽다보면 어떻게 그 시대를 살았는지 생활양상까지 보여준다. 축음기를 단순하게 음악을 듣는 데에서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녹음까지 할 수 있었다는 사실도 신비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드레스를 평상복으로 입고 산 시대라면 왠지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같은 옛날 이야기책에나 나올법하다고 생각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요즘의 전자기계같은 녹음할 수 있는 기계가 등장하니 타임머신을 탄 느낌이 들게 한다. 고전을 읽으면 읽을 수록 옛날 사람들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보다 삶에 불편하다고 말할 수 없게 된다. 그만큼 그들의 삶의 방식이 자연스러운 편안함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