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한 소설
송수경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나는 우리나라 소설이 좋다. 역사가 다 진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자라면서 알게되었다. 어제의 충신이 오늘의 역적이 되고 어제의 역적이 오늘의 충신이 된다. 본인의 이해타산에 의해 역적이 될 것도 충으로 만들어주고 자신의 의견에 배반할 경우엔 충신도 역적으로 만들어 이세상에서 사라지게 한다. 하나의 권력을 잡으면 그 권력을 지키기 위해서 거짓말에 거짓말을 한다. 그래서 역사는 진실과 사실 보다는 그 당시의 권력자의 눈으로 쓰인 것이다.
그래서일것이다. 그것을 현대에서 재조명해서 보여주길 원하는 것이.. 현대에서 아무리 재조명하더라도 역사에 바탕을 두고 쓰는 것이라 권력자의 눈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지만 그래도 재조명 해서 그 시대의 역적이 이유가 있는 신하로 변화 할수 있는 것이다. 역적이 될 수 밖에 없었던 그들이 변명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역사를 재조명한 현대소설이 하는 역할일 것이다.
위험한 소설 또한 그러한 맥락에 있는 것 같다. 허균은 홍길동전을 쓰고 역적으로 몰려 능지처참을 당했다. 가문의 멸족을 면하기 위해서 허균이 죽을 당시에는 가문과 관계없이 개인의 일이라 모른체하고 살아갈 수 있지만 남은 삶을 계속 살아내기엔 죄책감이 더했다. 그래서 허보와 필진은 허균이 역적인지 아닌지를 후대에서나마 밝혀 명예를 회복해 주고 싶어한다.
촌은 유희경은 본인들의 혁명을 위해 허균을 발판으로 삼는다. 친구를 배신하고 죽음으로 내모는 것을 자신의 세상을 꿈꾸는 과정중에 하나라고 생각을 정당화 한다. 하지만 결과적으론 자신의 권력을 위해서 친구를 배신한 모리배일 뿐이다. 혁명을 하지 않겠다는 허균을 설득하여 형식상 혁명의 물에 발을 담그게 하고 죽음으로까지 내몬다. 허균은 자신이 평생을 살면서 신분에 상관없이 친구로 맺어 알뜰살뜰 살펴줬지만 권력을 하고 싶어 신분제에 목마른 이들은 화답을 하지 않았다. 그냥 묵인도 아닌 배신을 하였다.
홍길동전은 조선시대엔 위험한 소설이었다. 사대부들의 재산을 빼앗아 백성들에게 줬을 뿐 아니라 사대부들을 놀리고 임금까지 놀렸으니까.. 자신이 서자인 광해군 또한 그러한 신분제에 뜻뜻하지 못하고 굴욕에 산 임금이었으니 그들을 옹호할 수도 없었으리라. 결국엔 시대를 앞서간 한 사람만 역적이 되고 그들의 가족의 가슴에 한을 심어준다.
이래서 역사를 풀어가면 재미있다. 역사는 완전 진실이지도 사실이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전혀 거짓이지도 않다. 누가 역사를 이끌어 가더라도 그들나름의 변명과 최선은 있기 마련이다. 다만 후대에도 뜻뜻할 수 있도록 역사를 만들고 기록하였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