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다시 쓴 10가지 발견 - 인류의 역사를 바꾼 위대한 고고학적 발견들
패트릭 헌트 지음, 김형근 옮김 / 오늘의책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다시 쓴 10가지 발견이라는 책은 현대의 우리에겐 거의 예전 고고학자님들의 각고의 노력끝에 밝혀져서 한 번씩 매체든 글이든 눈이든 사진이든 무엇으로던지 접해본것이다. 우리가 접해보기까지 하게 된 경위를 보여주는 듯 하다.
 
한때 투탕카멘의 전시회를 우리나라에서도 열린적이 있다. 물론 가지는 못하고 귀동냥으로만 들었었다. 그래서 ~~ 카드라 통신이 난무하기도 했다. 그렇게 발견하기 어려운 것이 투탕카멘에 안좋은 설들이 따라다녔기 때문이라는 말부터 그 무덤에 들어가면 들어가는 이들이 모두 죽는다는 약간은 어찌보면 고고학이 발견되기 예전 이야기들 같기도 한 허무맹랑한 이야기였었다. 지금 이 책을 읽으니 왜 그런 설들이 붙었는지를 알게 되었다. 그만큼 발견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임을 알려준다. 하긴 그렇게 발견되기 어려웠으니 도굴군들도 찾지 못했으리라.
 
고고학이라면 다른 건 몰라도 글자독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일 것이다. 그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해 준 것이 "로제타스톤" 이다. 그것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고고언어는 전혀 풀지를 못했을 수도 있다. 이 로제타스톤이 이집트의 비밀을 풀어준 열쇠이긴 하지만 그로 인해 다른 문화의 글도 함께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준다.
 
예전의 문화들은 우리가 발견해 주지 않는다면 단순하게 전설로서만 존재했을 것이다. 이렇게 발견해서 보여주니 그것이 단순한 전설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했던 나라나 사람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이다.
 
가끔 이렇게 생각한다. 우리가 아무렇게나 버린 물건이 아주 먼 미래에 누군가의 눈에 뜨인다면 그 물건은 아마도 값어치 있는 것으로 변화하지 않을까 하는.. 그래서 모든 물건을 버리거나 만지더라도 그 물건이 미래에 미칠 수 있는 의미를 부여하려고 하기도 한다. 우리가 아무 의미도 두지 않는 물건이 미래인들에게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겠는가를 생각하면 어떠한 물건이라도 의미없는 것이 없는 것 같다.
 
우리 주변에 예전 신라물건들이 많이 드러난다. 간혹 아파트를 짓거나 하는 사람들이 건설중에 예전 물건들이 나타나면 공사를 중단하고 현장조사와 유물발견을 하는 것을 본다. 그럴때 공사중인 사람들의 입장에서 봐 와서 짜증낼때도 있었다. 유물 발견 하나때문에 여러가지 불편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다른 관점으로 봐야 겠다. 예전 우리의 조상들이 유물로서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을 막으려고만 들지 말고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하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고대의 사람들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보다 훨씬 더 과학적이고 효율적이다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을 알게 해준 고고학자들에게 고개 숙여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