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백제 - 700년의 역사, 잃어버린 왕국!
대백제 다큐멘터리 제작팀 엮음 / 차림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백제에 대해서 과연 "대"자를 붙여도 거부감 없을지가 궁금했다. 백제는 완전 모르지는 않았다. 다른 사람들처럼 완전 없는 나라처럼 취급하지도 않았다. 일본에 많이 가르쳐 주고 베풀어준 나라..삼국시대에 가장 먼저 한강 주위에 수도를 가진 나라.. 선화공주와 사랑의 노래를 만든 서동 즉 무왕과 마지막 낙화암에 삼천궁녀를 뿌린 의자왕이 백제하면 떠오르는 것이었다. 삼천궁녀에서 삼천이라는 숫자는 정말 숫자에 불과할 뿐인데 그것으로 인해 의자왕은 나라를 저버리고 여자만 꾀한 나쁜 왕으로 변하였다. 그것이 잘못된 와전이라는 것을 모른체 욕만 했던 기억이 난다..
다큐멘터리에 의해서 책으로 완성된 "대백제" 는 이제 우리들 머리속으로 마음속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백제에게 감히 "대"자를 붙여져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듯 하다. 아니 당연하게 느껴지기까지 하다. 우리네 역사에서 가장 건축물을 화려하게 만든 사람들이기도 하다. 오죽하면 불국사에서 각광받고 있는 석가탑과 다보탑이 만든이가 백제사람이었겠는가. 신라의 건축물은 그다지 화려하지 못하다. 의외로 단순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그래서 석가탑보다는 다보탑이 더 사람들에게 칭송받나 보다. 700년의 역사가 단순히 패전국이기 때문에 후세인에게 아무것도 아닌걸로 묻혀 버릴 수도 있었을텐데 그것을 되살린 사람들께 감사를 드릴 정도이다.
백제는 현실세계에서 불교의 극락세계를 완성하려 하였나 보다. 사찰이 아주 많이 지어졌다. 한 사찰안에 금당과 탑이 여러개인 사찰도 많다. 그 탑안에 사리를 봉인해 넣고 많은 것을 빌어 극락토 완성을 꿈꿨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본에도 단순하게 문물만 전해진줄 알았는데 백제가 망한후 왕족과 귀족들이 일본으로 건너가서 자리를 잡았다 한다. 그때부터 일본문화의 발전이 급진적이 되었다 한다. 자체적으로 무엇을 만들기도 하고 건설하기도 한다. 그 기교자체가 중국의 억지스러움도 아니고 신라의 건조함도 아닌 자연스러우면서도 화려함을 함께 내포하고 있다. 백제는 건축물 뿐 아니라 세공기술 그리고 철기기술 , 패션에까지 많은 것을 발전시켜 화려한 문화를 만들었다. 그 모든것이 우리나라에선 사라져 버렸지만 일본에서는 백제패션을 필두로 한류로 까지 이어지고 있다.
패전국일지라도 우리나라에선 잊지말고 우리의 것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다. 한때는 우리나라에서 화려함을 표현했고 700년이나 존속한 나라이기에 결코 짧은 나라는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