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논쟁 역지사지 생생 토론 대회 1
최영민 지음, 오성봉 그림 / 풀빛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논쟁 역지사지 생생토론대회 는 말그대로 계속 논쟁거리가 되는 역사를 제대로 알아보자는 데서 출발한다. 독도문제 부터 시작해서 동해표기 문제까지 커다면 커다란 역사논쟁이 아주 많다. 당연한 사실인 우리나라 사람들은 당연한 사실로 인정하지 않는 중국과 일본때문에 열받아 하고 있지만 실상은 제대로 된 역사적인 사실을 알고 있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사실 제대로 알고 싶어하지도 않으면서 중국과 일본이 가져간다니 빼앗기기 싫어서 열받아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러한 사람들은 논쟁에 부딪혔을 때 흥분만 하지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한다. 무조건 안좋은 역사를 무시하지 말고 대충 알고 있는 역사로 인해 다른 나라에 눌리지 말며 인정할것은 인정하고 제대로 알고 대응하자는 데 이책이 나온 듯 하다. 물론 공감하며 역사는 제대로 알아야 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 책의 설정은 초등학교 학생 여섯명이 반으로 나눠서 한국팀이 되기도 하고 중국팀이 되기도 하며 일본팀으로 활약하여 법정처럼 다른 친구들과 선생님을 배심원으로 두고 논쟁을 한다. 처음..고구려사를 두고 한국사인지 중국사인지를 두고 토론을 한다. 그 역사논쟁을 하는 동안 여기 아이들처럼 나도 생각했었다. 뻔한 사실에 한국팀인 학생들은 제대로 발언을 할 수 있겠지만 중국팀을 맡은 아이들은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자못 궁금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논쟁을 하는 가운데 너무나 가볍게 생각한 한국팀은 안일하게 대응하여 약간은 밀리는 듯 하였으며 중국팀은 중국의 입장에서 최대한 맡은 역할을 제대로 해냈다. 그들을 통해서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안일하게 대응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나기도 하였다. 그렇다. 역사를 그나라 땅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나라 역사로 할 것인지.. 아니면 전통과 정신에 따라 그나라 역사인지 아닌지를 판가름 해야 할지가 약간 왔다갔다 하기도 하였다. 그나라로 국한 했을땐 우리나라 고대역사는 모두 중국역사가 되는 것이다. 고대의 땅을 지키지 못하는 우리나라 선조들에게 화를 내야 할 정도이다. 그렇지 않고 전통과 정신에 따른 역사이기에 감사해야 할 정도이다.

 그렇게 우리가 당연하게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상대편이 되어 논쟁하면서 역시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고 느껴질 만 했다. 신라는 삼국중에서 가장 약한 나라이지만 최후로 승자가 되면서 통일을 이루었기에 그 당시 존재했던 가야의 존재를 아주 미미하게 기록으로 남겼을 뿐 나머지 사실은 약간의 의혹의 빌미를 제공했다. 비록 미약한 나라일지라도 제대로 기록했다면 일본이 조선의 남부를 지배했다는 말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역사의 기록은 소중한 것이고 지켜야 할 것이 어떤 것인지를 제대로 알려줘야 함을 한번 더 느끼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