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정의 결혼식
한지수 지음 / 열림원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이란 다른 삶을 사는 것으로만 여겼던 나에게는 무척이나 어려운 소설이기도 했다. 밝고 유머스럽지 못한 이야기들이기에 가슴 한쪽이 먹먹하기도 했다. 왜 이런 소설을 쓰야만 했는지.. 얼마나 외롭고 힘들었으면 이런 힘든 삶들을 고스란히 그려낼 수 있었는지 이해하기 힘들기도 했다. 좀더 밝게 글을 쓰면 되지 않을 까란 생각도 했봤다. 열대야에서 온 무지개 ..이 이야기 하나만이 정상적인 모습으로 내 눈에 비쳐지는 것은 나또한 다른 삶들에 눈을 감고 있었던 것이다. 아프다고 소리치는 모습엔 눈을 감고 싶고 밝고 환한 것만을 쫓고 싶었는지 모른다. 주위를 둘러보면 자그마하게 아프다고 소리치는 모습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기에 아픈것을 더 멀리 하게 된다. 그러한 모습들을 책에서까지 보니 당근 이해하기가 싫었다. 그러나 이소설 뒤에있는 작품해설을 보고 그러한 이야기들에 숨어 있는 것들을 볼 수 있었다. 그 해설을 읽음으로 해서 아~~ 이 글들엔 이러한 것들이 내포하고 있구나.. 단순히 가슴 먹먹함을 느끼면서 표현해 내지 못한 것들이 해설이라는 이름아래 글로써 표현되고 있다.
자정의 결혼식은 한지수의 소설집으로 자그마한 이야기들을 7개나 담고 있다. 그 이야기들은 밝고 희망적인 것들이기보다는 서글픔으로 가득차 있다. 그리고 왜 이리 슬픈 것인지.. 슬프기 보다는 뭔지모를 쓸쓸함을 내포하고 있는 듯 하다. 이야기 하나 하나 모두가 사람을 무진장 사랑하는 연민을 품고 있으면서 또한 사회부적응자 인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나자신에게 당당하지 못하고 연민에 빠트리며 억지로 삶을 살아내고 있는 듯하기도 하다. 그것이 인생이기도 할 것이다. 인생이란.. 삶이란.. 밝지만은 않은 것이다. 사람들 모두가 자신감있게 당당하게 살아가지도 않다. 스스로 내성적임을 되네이면서 상처입음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이야기들에서는 묘사가 너무나 세세하다는 것이다. 미모사의 움직임.. 오그라드는 모습과 피어나는 모습.. 누에가 잎을 갉아 먹는 소리를 빗소리로 표현해낸 것 하며 자궁이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면서 이야기하는 모든 모습까지 작가의 말대로 새로운 창을 하나 연듯하다. 이렇게 섬세하게 사람의 내면을 읽어내는 소설 또한 처음이다.
열대야에서 온 무지개..에서 사이란의 마지막 말.." 한우를 낳고 싶어요" 란 말에서 웃음보다는 절실함이 느껴졌다. 다른 나라에서 우리나라로 시집와 진정한 한국인이 되고 싶다는 표현이기도 한 말이다. 국내산과 한우의 차이를 듣는 동안 자신은 국내산이지 진정한 한국사람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아아를 통해서 한국인이 되고 싶다는 말인 것이다. 또한 친구같이 약간 어색했던 남편과의 관계를 정상적인 관계로 되돌리고 싶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녀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