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의 결혼식
한지수 지음 / 열림원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이란 다른 삶을 사는 것으로만 여겼던 나에게는 무척이나 어려운 소설이기도 했다. 밝고 유머스럽지 못한 이야기들이기에 가슴 한쪽이 먹먹하기도 했다. 왜 이런 소설을 쓰야만 했는지.. 얼마나 외롭고 힘들었으면 이런 힘든 삶들을 고스란히 그려낼 수 있었는지 이해하기 힘들기도 했다. 좀더 밝게 글을 쓰면 되지 않을 까란 생각도 했봤다. 열대야에서 온 무지개 ..이 이야기  하나만이 정상적인 모습으로 내 눈에 비쳐지는 것은 나또한 다른 삶들에 눈을 감고 있었던 것이다. 아프다고 소리치는 모습엔 눈을 감고 싶고 밝고 환한 것만을 쫓고 싶었는지 모른다. 주위를 둘러보면 자그마하게 아프다고 소리치는 모습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기에 아픈것을 더 멀리 하게 된다. 그러한 모습들을 책에서까지 보니 당근 이해하기가 싫었다. 그러나 이소설 뒤에있는 작품해설을 보고 그러한 이야기들에 숨어 있는 것들을 볼 수 있었다. 그 해설을 읽음으로 해서 아~~ 이 글들엔 이러한 것들이 내포하고 있구나.. 단순히 가슴 먹먹함을 느끼면서 표현해 내지 못한 것들이 해설이라는 이름아래 글로써 표현되고 있다.
 

자정의 결혼식은 한지수의 소설집으로 자그마한 이야기들을 7개나 담고 있다. 그 이야기들은 밝고 희망적인 것들이기보다는 서글픔으로 가득차 있다. 그리고 왜 이리 슬픈 것인지.. 슬프기 보다는 뭔지모를 쓸쓸함을 내포하고 있는 듯 하다. 이야기 하나 하나 모두가 사람을 무진장 사랑하는 연민을 품고 있으면서 또한 사회부적응자 인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나자신에게 당당하지 못하고 연민에 빠트리며 억지로 삶을 살아내고 있는 듯하기도 하다. 그것이 인생이기도 할 것이다. 인생이란.. 삶이란.. 밝지만은 않은 것이다. 사람들 모두가 자신감있게 당당하게 살아가지도 않다. 스스로 내성적임을 되네이면서 상처입음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이야기들에서는 묘사가 너무나 세세하다는 것이다. 미모사의 움직임.. 오그라드는 모습과 피어나는 모습.. 누에가 잎을 갉아 먹는 소리를 빗소리로 표현해낸 것 하며 자궁이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면서 이야기하는 모든 모습까지 작가의 말대로 새로운 창을 하나 연듯하다. 이렇게 섬세하게 사람의 내면을 읽어내는 소설 또한 처음이다.
 
열대야에서 온 무지개..에서 사이란의 마지막 말.." 한우를 낳고 싶어요" 란 말에서 웃음보다는 절실함이 느껴졌다. 다른 나라에서 우리나라로 시집와 진정한 한국인이 되고 싶다는 표현이기도 한 말이다. 국내산과 한우의 차이를 듣는 동안 자신은 국내산이지 진정한 한국사람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아아를 통해서 한국인이 되고 싶다는 말인 것이다. 또한 친구같이 약간 어색했던 남편과의 관계를 정상적인 관계로 되돌리고 싶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녀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