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가 쓴 원고를 책으로 만든 책 - 새끼 고양이, 길 잃은 고양이, 집 없는 고양이를 위한 지침서
폴 갈리코 지음, 조동섭 옮김 / 윌북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참으로 특이한 책이죠. 다른이가 아닌...아니 사람이 아닌 고양이가 쓴 책이니까요. 그것도 암고양이가 새끼고양이에게 인간을 접수하는 지침서로 삼기위하여 쓴 책이니 더 기가막히죠.. 사람이 아닌 동물이 쓴 책이라..ㅎ
인간을 제대로 접수해서 거의 왕으로 살아가는 암고양이.... 가 어떻게 인간을 접수할 수 있는지.. 어찌하면 자기가 원하는 것을 먹고 원하는 곳에서 살 수 있는지를 아주 상세하게 가르쳐 주고 있어요. 그 과정에서 인간관찰을 어찌나 잘했는지 인간남자와 인간여자 그리고 인간의 아이들 까지 파악해서 대처하는 방법 또한 적혀 있습니다. 인간인 저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들까지 말입니다.
제가 새끼 고양이라도 이 책만 읽으면 인간을 접수할 수 있을것 같았어요. 처음엔 황당하기도 했답니다. 고양이가 기록했다는 자체도 웃길뿐더러 그 고양이가 인간을 부리려 한다는 것엔 더더욱 열이 났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동물을 그리 사랑하지 않기 때문이죠. 하긴... 고양이도 저 같은 사람을 만나면 본인들의 수법이 통하지 않으니 진작 나오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말입니다.
우리가 먹이고 사는 조건을 충족시켜 주는데 그것을 길들여서 받아들인다는 식은 참 당황스럽더라구요..그런데 한편으로는 이해가 가기도 했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보기에도 애완동물에게 너무 심하게 빠져 들어있는 사람들이 있죠. 약간 꼴사나워 보이기도 하답니다. 사람을 그렇게 대우해줬으면 본인들이 대우받겠지만 사람에겐 마구 대하면서 애완동물에겐 지극정성이죠. 그 애완동물은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그리 순수하지만은 않은데도 말이에요..
뒤에 작가가 쓴 말이 더 재밌었지요. 서로 사랑하는 사람이나 사람과 동물사이는 서로가 이용을 하면서 당하면서 행복하다구요. 그렇죠. 고양이도 이야길 했죠. 사랑에 관해서.. 하지만 인간의 사랑은 너무 믿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가끔 막대로 맞는 것보다 더 아프다고 하더라구요. 얼마나 사람을 잘 이해 했는지를 잘 알려주는 대목이기도 하지요. 가끔은 이기적인 사람들이 자신이 외로울땐 애완동물에게 무지 잘 대해주다가도 갑자기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살곳도 마련해주지 않고 밖으로 내치지요. 그런 이들을 뭐라하는 거겠죠..
고양이들의 지침서이기도 하지만 사람들을 이해하는 지침서이기도 하답니다. 고양이와 사람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관계도 지침서가 가끔은 필요할때가 있으니까요. 재미로..신기함으로.. 그리고 공부하는 마음이 함께 할 수 있는 책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