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링 calling - 빅마마 이지영 터키 소나타
이지영 지음 / 북폴리오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어딘가를 떠나는 것은 용기가 필요한 듯 하다. 누구에게나 자유가 중요하고 일상으로의 탈출이 필요하지만 그러하지 못한것은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내가 없으면 안되는 듯한 집착(?) 이기도 하다.

막상 집에서 비행기를 타기 위해서 공항에 선 저자도 공중전화 앞에서 이리저리 서성이고 이곳저곳으로 전화를 마구 하고 있다. 여행에 접어들면 자랑도 하고 쉽지만 나의 행선지를 누구에겐가에게 퍼뜨려 놓는 것은 낯선곳으로 떠나는 두려움 때문이리라.

그런 두려움을 과감히 떨쳐버리고 간 곳.. 터키.. 그 자유스러움에서 터키의 풍경과 작가의 속엣말이 함께 한면을 만들고 있다. 그 한면이 모여 보고픈 한권의 책이 되는 것이다. 여행지인 그곳에서는 누구나 시인이고 작가이다. 자유로운 곳에서의 흥얼거림은 시와 노래가 되어 입밖으로 나온다.

여행에서의 만남은 자유와 순수로 차 있는 듯 하다. 여행 다니는 사람이 순수해서 그런지 아니면 터키의 사람들이 순수한건지.. 낯선이에게 집구경을 순순히 시켜준다. 그런 것을 보면 사람과 사람사이의 정은 나라를 불문하고 사람의 정이 함께라면 어느 곳에서나 존재하나 보다.

터키는 우리보다 더 도시적인 것 같으면서도 우리보다 더 시골적이다. 순수한 사람들은 시간에 관계없이 산다. 시간에 쫓겨 사는 우리가 계획에서 조금만 이탈해도 불안해 하지만 그들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 더 여행이 재미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낯선이들을 보아도 낯설어 하지 않고 차와 함께 시간까지 내어주는 사람들. 터키.. 그들을 우리의 형제나라라고 한다는 이야길 들었다. 형제나라라서 더 후하게 대해 준것은 아닌지. 나도 가면 잘 해 줄건지를 생각해본다.

처음보는 것은 신기해 하며 한번더 보고 다른 책에서 함께 했던 곳들은 아~~ 라는 감탄사와 함께 넘어가고 반짝반짝 수공예품들에선 놀라움에 잠시 책장을 넘기기를 주저하며 웃는 이들에겐 함께 미소를 날려준다. 그곳에서 만난 한국.. 그들의 시선으로 본 한국에 나 또한 반가워 한다.

빅마마 이지영.. 그녀가 이끄는 대로 아름다운 터키를 그녀의 눈으로 본다. 또한 나의 눈으로도 본다. 같은 눈으로 본것은 함께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고 또 그렇지 않은 부분은 혼자만의 생각으로 빠져든다.
그녀와 함께 한 여행은 비록 내몸은 가지 않았지만 영혼은 함께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