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즉석식품 - 만드는 사람은 절대 먹지않는
아베 쓰카사 지음, 황미숙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맞벌이를 하는 사람들은 평일에는 그렇지 않겠지만 주말엔 거의다 외식을 하는 편이다. 한주간 동안 일하느라 피곤한데 쉬지도 못하고 음식을 만드는 효과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평소에 잘하지 않으니 음식맛도 잘 나지 않을 뿐더러 재료자체도 소량으로 팔지 않으니 거의 버리기 일쑤다. 그럴땐 식당에서 사먹는 것이 제일 간편하다. 식당에서 파는 음식은 그래도 믿고 사먹을 수 있으니까..라고 생각했는데 오산이었다. 식당에서 파는 음식에도 그 음식들을 보존하거나 원가를 줄이려면 무진장 많은 식품첨가물이 들어간다. 물론 법적으로는 걸리지 않은 양이기 하지만 그 한도내에서 최대한의 수치인것이다. 게다가 표기도 되지 않는다. 그러고 보면 파는 음식은 믿을수가 있는게 없나보다.
일본의 식품첨가물로 사업을 하고 영업을 하던 사람이 어느날 자신의 회사에서 만든 음식을 자신의 아이가 먹으려고 하는 것을 보고 놀랐단다. 본인이 비록 만들어 팔고는 있지만 먹고 싶지 않는 음식이기 때문이다. 본인도 먹기 싫은 음식은 어린 자녀에게는 더더욱 먹일 수가 없었단다. 그래서 어느날 부터 학교와 지역을 돌면서 식품첨가물이 어떻다는 것을 보여주고 먹더라도 제대로 먹자고 가르쳐 주고 있다.
보통 마트에 가서나 아님 편의점에 갔을 때에만 뭘 들었을까란 생각을 하면서 표기를 보게 되지 다른 곳에서는 그냥 대수롭지 않게 사게 된다. 특히 컵라면은 간편하면서 먹기 쉽기 때문에 쉽게 식사의 한끼로 하게된다. 그 속에 그 많은 첨가물이 들어있을줄은 상상도 못했다. 어느정도의 첨가물은 들어있으리라 생각했었다. 그렇지만 먹을 수 있는 정도로 넣어주는 줄 알았다. 넣는 양이 화학첨가물이 아니더라도 그렇게 많은 첨가물이 들어간다는 것은 상상초월이다.
또한 놀라운 것은 우리 몸에 불필요한 염분, 유분, 당분..의 과잉섭취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이 세가지의 조합으로 식품첨가물은 우리의 몸안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갈뿐 아니라 우리들의 입맛도 변화시킨다. 천연 자연의 맛이 천대받는 사회가 된 것이다. 식품첨가물의 입맛에 길들여진 우리의 입맛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것은 비록 일본만의 일은 아닐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유기농이 조금 비싸더라도 사는 사람이 있긴 하지만 그것조차도 속이는 사람들이 있으니 아예 대놓고 싼 음식들을 구입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 모든 행동이 화학조미료를 필요로 하고 있는 행동이 된다. 우리 스스로가 식품에 담겨있는 첨가물을 보고 알아서 구입하였으면 한다. 건강을 우선으로 생각해서 골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