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정도전 2 - 하늘을 버리고 백성을 택하다 정도전 2
이수광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백성이 가장 귀하고 사직은 다음이고 군주는 가장 가볍다" 정도전이 추구하는 평생의 일이었다.

 백성은 일어나서 밥 먹고 일터에 가서 일하고 끝이 나면 집으로 돌아오는 그리고 대접받는 그러한 세상을 만들고자 했던 정도전.. 백성들이 궁핍하게 살던 고려를 망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스승과 동문수확한 이숭인과 정몽주를 버렸던 정도전.. 오로지 백성을 위해서 조선을 건국에 일조한 정도전.. 그래서 조선최대의 권력의 중심에 서서 조선의 틀을 마련했던 정도전... 그는 백성들보다는 권력을 더 사랑한 사람들로 인해 역적 죄인이라는 오명으로 죽임을 당하고 조선 내내 죄인이라는 틀을 달고 살았다. 조선의 마지막 군주인 고종에 의해서  훈작을 회복하고 시호를 받게 된다.

조선을 건국하였지만 조선 내내 역적으로 남다가 조선의 마지막에 가서 다시 훈작을 받은 그는 이상가였나 보다. 오로지 백성을 위한 나라를 만들려고 생각했지만 권력을 누리기를 좋아하는 그들에겐 함께 나가야 하는 동지가 아니었다. 또한 그는 너무나 잘나서 천재의 오만까지 함께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다른 이들과 타협이 불가하였다. 덕분에 평생을 가난과 좌절속에 살았고 질타속에서 살아야 했다.

오늘날 우리 백성들을 위해서 이렇게 목숨까지 내놓으면서 까지 정치를 해줄 사람이 누가 있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정치인들과 많은 사람들이 권력을 가지면 먼저 백성들위에 군림하고자 원한다. 본인만 태평성대면 되는 그러한 세상인 것이다. 한톨을 가진 백성에게서 아흔아홉을 가진 부자가 마지막 한톨을 빼앗는 정치를 하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그 때문에 이방원에게 간 정도전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비록 정도전의 꿈은 좌절되었지만 그 꿈은 그 꿈을 짓밟은 사람들의 가슴속에서도 살아 움직인다. 태종 이방원은 정도전을 죽였지만 백성을 원하는 신권정치를 지지한 세종대왕에게 왕위를 전한다. 그렇게 조선은 신권과 왕권의 갈림길에서 끊임없이 방황을 하면서 많은 이들에게 죽음을 안겨주었다. 그 과정에서 당연히 따르는 배신이 난무하였다. 동지와 적대관계는 종이한장 차이인 것이다. 그것이 권력의 길인가 보다.

정치를 하지 않는 평범한 사람인 나로서는 정도전과 같은 꿈을 꾸는 정치인을 맞이하고 싶다. 그들과 함께 사는 세상이 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