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 정도전 1 - 하늘을 버리고 백성을 택하다 ㅣ 정도전 1
이수광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정도전.. 그는 고려말에 태어나 조선을 건국한 사람이다. 이성계를 찾아가 나라를 세우도록 만들고 그는 신하의 우두머리인 재상이 되고자 했다. 그는 처음부터 민본정치..즉 백성이 본이 되는 정치를 하고자 구하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왕이 주인되고자 하는 조선을 꿈꾸는 이방원에게 정도전은 퇴출당했다. 그렇게 정도전을 퇴출한 조선은 초에만 왕이 주인되는 정치인 왕권정치를 하였지 중반기부터는 신하가 주인되는 재상정치를 끝까지 하게 된다. 결국엔 정도전 말대로 된것이다. 왕은 거의 허수아비가 되고 신하가 권력을 주무르게 되었다. 왕이 주인되는 왕권정치를 하던지 신하가 주인되는 신권정치를 하던지간에 백성은 피와 땀을 흘렸을 뿐이다. 백성이 주인되지는 않는다.
학교다닐때 역사를 가르친 선생님이 계셨다. 그는 정도전을 우리머리에 각인 시키기 위해서 " 정면으로 도전하다 죽은 사람" 이라고 가르치셨다. 그때는 웃으면서 그 말을 들었지만 그 한마디로 정도전의 모든 것을 설명한것 같다. 그렇다..정도전은 불의를 보면서 참지 못했다. 고려의 마지막 왕조이던지 고려말의 권력가이던지 또한 이방원에게조차 타협하지 못하고 본인의 생각을 어필하기만 하였다.
권력은 영원한 친구도 영원한 적도 없는 듯 하다. 지금 상황에서 그 사람과 맞으면 그는 나의 동지인 것이다. 권력의 주위엔 항상 배신이 꿈틀거리나 보다. 보다 나은 권력을 얻기 위해서 어제의 동지가 나와 생각이 다르다면 제거해야할 대상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배신자는 항상 배신당하는 사람의 가장 가까운 심복인 것이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기에 제거할 수 있는 시기도 적절하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정도전 상권은 정도전의 어린 시절에서 권력을 잡기 위해 밑거름을 쌓는데 까지 나온다. 그래서 상권의 이야기는 가난하고 궁핍하고 남루하기까지 하다. 그렇지만 꿈을 향한 준비만은 누구 못지 않게 열심이다. 꿈을 향한 준비만이 아니라 꿈을 이루겠다고 호언 장담 한다. 어린시절의 정도전은 더 굽힘이 없다. 무너짐이 없었기에 배운대로 행하기만 하면 이루어질 줄 안다. 정녕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깨어지고 무시당한다. 그런 가운데 더 백성과 하나가 되고 백성을 위해서 어찌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하권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