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의 뇌에게 말을 걸지 마라 - 이제껏 밝혀지지 않았던 설득의 논리
마크 고울스톤 지음, 황혜숙 옮김 / 타임비즈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에게는 세개의 뇌가 있단다. 그러니까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제일 안 쪽에 있는 뇌는 원시적인 파충류의 층, 그 다음은 좀더 진화된 포유류 층 그리고 마지막으로 영장류의 층 으로 되어 있다. 이 3개의 층은 서로 연결되어 사고를 하고 있지만 종종 별개의 뇌처럼 기능한단다. 서로 전쟁까지 벌이는 일도 자주 있단다. 가끔 하나의 결정을 내릴때 내머리속에서 천사와 악마가 싸우듯이 강력하게 대응할때가 있는데 그때가 전쟁을 벌이는 일이다.

각자의 뇌를 살펴보면~~~
파충류(뱀)의 뇌는 투쟁과 도피 반응을 관장한다. 즉 즉각적 행동과 반응의 전부인 것이다.
포유류(쥐)의 뇌는 감정을 주관한다. 내면의 오버쟁이라고도 말하며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감정이 일어나는 곳이다.
영장류(인간)의 뇌는 상황을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해 의식적으로 실행계획을 세우는 곳이다. 또한 파충류와 포유류의 뇌에서 수집한 정보를 조사하고 분석해 실용적이고 현명하고 도덕적인 결정을 내린다. 

보통 우리에게 존경받는 사람은 영장류의 뇌가 컨터롤을 잘 해서 내보여 주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보면 보통의 사람들에게 특별한 사람으로 보여진다. 그렇지만 우리 주위에는 포유류의 뇌를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을 것이다. tv에서나 길에서나 분노를 터뜨리는 일은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우리가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위 세개의 뇌를 잘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상대방의 사람이 어떤 뇌를 가졌는지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이 책의 저자님은 그것을 가장 잘 살필줄 안다. 그래서 가장 위험한 상황에서 방법을 잘 풀어낸다. 그리고 우리들에게도 그 방법에 대해서 예시를 들어가면서 가르켜 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가족과 회사에 사용하여 성공을 거두었단다.
사람은 함께 살아가면서 표현을 하는데 서로가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인다. 표현하는데 서툼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포악한 사람안에 두려움이 존재한다. 그사람이 두려움을 감추기 위해서 포악과 분노를 분출한단다. 게다가 가장 가까운 부부들은 공격보다는 자기 방어를 우선으로 하는데 듣는 상대방은 공격으로 듣기도 한다. 그 모든 것을 풀어낼 수 있는 대화법을 가르쳐 준다.
여러상황을 최대한 관심있고 집중적으로 듣고 말하여 그 사람이 어느 뇌에 있는지 알아낸다. 그래서 그 뇌에 따라 대화를 이끌어 간다. 파충류나 포유류의 뇌에 있다면 대화로 영장류의 뇌로 이끌어 간다. 그리고 나서 풀어지는 대화를 해야 한다. 그 많은 상황을 예시를 통해서 읽기 쉽게 알려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