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옷을 입은 아이들 보름달문고 36
김진경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울 옷을 입었다고 하기에 거울 옷이란 어떤 옷일까란 의문을 갖고 책을 보기 시작했다. 이 책은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이다. 주인공이 6학년이니까 초등 고학년 책인 것이다. 그런데 이 글을 읽는 동안 동화가 아니라 어른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아님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않고 약간은 웃자라서 본인이 어른과 동일하다는 생각을 하는 어린이 아닌 어린이 들에게 꼭 필요한 도서이다.

거울 옷이란 어떤 것이냐 하면 말 그대로 거울옷이다. 다만 거울옷에는 약간의 뜻이 담겨져 있다. 거울옷을 입은 사람은 모르겠지만 거울옷을 입은 사람을 보는 사람들은 본인이 보는 것만 거울에 비춰진다. 본인이 뚱뚱하면 그 사람이 뚱뚱하게 보일 것이고, 본인이 괴물처럼 생겼으면 그렇게 보일 것이다. 또 본인의 생각이 비뚤어져 있으면 본인에게 비춰진 것 또한 비뚤어진 모습이다. 그러니까 거울 옷은 자신의 내면을 보는 것이 아니라 가면을 쓰고 있어 보는 이는 본인과 마주볼 수 있지만 정작 자신은 갖혀서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이다.

이 책에선 세명의 여자 아이가 나온다. 선영, 미나, 지희 라는 이름을 가졌다.

선영은 어릴때 동생 선호를 잃고 약간 어른적인 요소를 갖춘 의젓한 아이이다. 하지만 학교에서 뜻하지 않게 도둑 누명을 쓰고 그 것을 누군가와 이야기하고 싶지만 받아줄  사람이 없다. 동생을 잃고는 가족이 와해되어 가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어느 누구도 입밖으로 표현은 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따뜻한 이해와 정도 없어 보인다.

미나는 어릴땐 공주풍으로 자란 아이지만 5학년때 왕따를 당하면서 안으로 안으로 움츠러 들어간다. 아이들 이야긴 부모도 선생님도 풀어줄 수 없기에 혼자 견디려고 한다. 그렇지만 여린 여자아이가 자신을 들여다 보기는 힘들것이다. 그저 친구들이 이야기하는 것만 자신인줄 안다. 그래서 한번도 내면을 들여다 보지 못했다. 그것으로 인해 친구에게 상처를 안겨 준다.

지희는 둘째로 자라 부모님의 사랑은 좀 적게 받고 자란다. 아버지의 말에 힘을 얻고 이쁜 딸이 되었지만 그 아버지가 5학년때 가족을 배신하고 떠나버린다. 버림받은 것을 버림으로 여기지 않고 본인의 삶을 본인이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살려고 한다. 그 독립적을 살려니까 그렇지 않은 아이들이 눈에 가시가 된다. 그래서 그들을 본인과 맞지 않다고 하여 괴롭히고 만다. 그렇지만 그것을 안고 있는 것을 은연중에 불편해 한다.

그렇게 지내는 세 아이가 거울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바로 돌아본다는 것이 이 글의 이야기다.

많은 사람들이 어느 특정한 틀을 만들어 놓고 그 안에서 지낸다. 나중에는 그 틀을 지키기에만 급급할 뿐이다. 그러다 보니 자신의 내면을 돌아 볼 시간이 없고 자신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그러지 말고 내면을 돌아보아 자신을 알고 또 신을 사랑하는 것만이 바로 살아가는 일이라는 것을 이 글은 이야기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