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혼 - 시간을 말하다
크리스토퍼 듀드니 지음, 진우기 옮김 / 예원미디어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시계를 보여준다. 흙으로 빚은 듯한 거칠은 모습의 시계. 참으로 정이간다.
시계는 쉬지 않고 계속 바늘이 흘러간다. 그래서 시계를 바라보는 우리도 바늘처럼 가많이 있지 못하고 쉴사이 없이 앞으로 전진하려는가 보다. 그래서 삶은 바빠진다. 그속에서 세상의 혼이 존재 한다.

세상의 혼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간을 이야기한다. 과거 현재 미래...
지금 이순간의 현재는 1초만 지나도 흘러서 과거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가끔 미래의 시간을 약속이라는 말로 잡아두기도 한다. 그 때가 되면 현재 미래 과거를 넘나들고 있기도 한다. 현재는 붙잡을 수 없을 정도로 금방 지나가버리지만 그 현재가 나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렇게 시간은 흘러가고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모든 현상이 시간으로 설명되어진다.
간혹 그 시간이 흘러서 새싹의 움틈을 보여 준다. 새싹의 자람도 보여준다. 꽃도 피워준다. 그렇게 일년이 되어가는 것이다. 그렇게 자연에서 시간을 만들어 내고 시간이 흘러감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주가 되고 월이 되고 연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하루 하루 자연의 성장을 읽을 줄 알면 시간을 읽고 함께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시간과 통용하게 된다면 과거에서도 미래에서도 지금의 천사를 만날 수 있다.
지금이 천사라면 과거는 역사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진다. 역사의 흐름도 시간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석회석과 점토속에서 과거를 읽을 수 있는 것이다. 그속에서 삶을 말이다. 그 흙속에서 화석이 될 수 밖에 없었던 것. 어느 누구는 화석을 위한 헌정시를 지어서 그들의 시간을 부활시키기도 했다. 그 화것이 된 어떠한 것도 그들의 눈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았고 시간에 따라 멈추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의미로 보면 완전히 멈춘것은 아니지만 그 화석의 눈으로 보는 시간은 머물러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어느곳에서도 시간은 존재한다.

또한 시간을 잘 활용하면 시간여행까지 가능할 것이다. 지금의 우리도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살고 있다면 그 시간의 활용을 좀더 넓게 할 수 있다면 시간여행도 가능한 것이다.
시간의 관리와 사용은 먼 미래의 어떤 거대공학 프로젝트보다 더 위대한 업적이다. 시간의 올바른 사용이 우리의 삶을 나은 방향으로 인도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시간은 우리와 공유하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