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난 김진명 팬이다. 다른 사람들은 용두사미의 글이라고 하긴 하지만 난 그래도 좋다. 김진명 소설은 우리네가 그냥 흘러가버릴 역사이야기를 쓴다. 역사학자나 그 일과 관련된 일이 아니면 그냥 흘러가버리고 관심없어하고 지나가버릴 이야기를 소설을 빌어서 들려준다. 그러니 글 읽는 독자들은 당연히 무엇인가 허전함을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처음의 몇편을 제외하고는 나 자신도 그렇게 느낀적이 있으니까. 그런데 그 모든 것들이 현실을 반영한 소설이다. 그러니 현재는 진행형이니 사건이 변화할 수 있을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결과를 선명하게 내릴 수도 없을 것 같다. 그렇지만 이 천년의 금서는 지금까지 뒤가 미진한 느낌인 소설과는 다르게 끝을 내어주는 잘 된 소설인 것 같다.
우리나라의 역사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다만 고집센 역사학자들이 자기만의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증거를 들이대기 좋아하기 때문에 그대로 현상유지를 하는 것이다. 역사에 증거가 어디 있을 까?
10년전의 시간도 아니고 100년전의 이야기도 아닌 천년이 지난 이야기를 증거가 있어야만 믿는 다는 사실이 참으로 가슴아픈 현실인것 같다. 우리나라가 힘이 부강하여 한번의 침략도 당하지 않고 처음 생긴 그대로 유지가 되었다면 증거가 있어야 하겠지만 다른나라에 침범당해 나라가 초토와 된적이 몇번이나 있었는데 그 증거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겠는가 그렇게 따져서 증거를 달라고 한다면 일제시대의 한국은 일본이어야 하는 것일 것이다. 먼 훗날의 사람들이 본다면 말이다. 그렇게 전쟁과 다른 나라에 침략을 많이 당한 우리나라 치고는 역사학자들이 안일하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역사학자이자 교수인 한은원은 자기 성의 "한"이자 대한민국의 "한"이 어디서 유래했는지를 풀고자 노력한다. 그 성풀이를 따라 중국까지 간 한 교수는 중국과 거의 함께 생성되다시피한 우리나라의 고대국가 "한"을 찾아낸다. 그것을 찾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중국의 학자들은 한교수와 함께 연구하는 김미진 교수를 죽인다. 그 죽음때문에 이정서박사가 함께 한교수가 간길을 찾아가게 되고 둘은 극적인 재회를 가진다.
우리나라의 사라진 고대국가 "한", 우리나라 역사학자조차 인정하지 않고 잃어버린 "한"을 찾아 갖은 고생을 하면서 한국의 역사학자들에게 "한"의 존재를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