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림슨의 미궁
기시 유스케 지음, 김미영 옮김 / 창해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서바이벌 게임. 제로섬 게임 이라 했던가요? 어느 안좋은 환경으로 가서 혼자만 살아 남을때까징 경기를 해야 한ㄷㅏ는거. 무지 어렵고 힘든 게임이죠. 그런데 어느 순간 이 게임들이 소재가 되어 모든 곳에 자리잡았다는 거랍니다. 하다못해 추리만화 코난에 까지 이야기 거리를 제공했죠. 우리의 현실 곳곳에 그 게임 같은 삶이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겠죠. 뭐든 일등만 요구하는 현 사회가 그런 거겠죠.
크림슨의 미궁은 화성을 닮은 곳에서 게임을 시작합니다. 각 플레이어들은 본인들이 그 게임에 왜 참석을 한 건지 조차 감을 잡지 못했지만 게임은 시작되었고 멈출 수가 없다는 겁니다. 멈춘다는 것은 곧 본인의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니까요. 혼자 남을 때까지란 슬로건이 걸리면 보통 본인 혼자만 그렇게 살고 싶어 하겠죠. 끝까지 혼자만 살아남아야만 하니까요. 더군다나 음식에 이상한 변이를 일으키는 그러니까 사람의 공격성을 키우는 약물을 투여한다면 훨씬 인간이랑 멀어진 게임엔 활력소가 되는 조건이 됩니다. 9명의 플레이어들 중에 후지카와 아이의 동맹.. 가장 인간미가 흐르는 동맹이 됩니다. 그래서 이들이 9명의 플레이어들 가운데 주인공처럼 보이게 됩니다. 그들은 게임에 적응을 가장 못하는 이들 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람은 환경의 동물이니 어떠한 조건만 주어지면 변화되어가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변화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사회에 적응을 잘 한다라고도 이야기 할 수 있기도 하지요. 그렇지만 인간미를 잃어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며 변화하는 사람을 결코 좋아할 수 만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이야기는 한사람을 남기기 위해서 쫓고 쫓기는 게임을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이 생존경쟁은 맞는 것 같다. 어짜피 부도 한자리 수 퍼센트이고 어느 차량 선전 할 때도 1%로를 대상으로 한다고 했던 기억이 난다. 우리네 삶 곳곳에 적자생존의 법칙을 심어놓으면서 또 그러한 사회에 잘 적응해서 살아가면서 이러한 서바이블 게임을 보고 화를 내고 있는 나 자신도 모순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 크림슨 미궁은 한편으로는 그러한 적자생존의 법칙을 이야기 하면서도 잔잔한 인간적인 사랑이 돋보일 수 있도록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그것이 우리 모두의 앞으로의 숙제이면서 절대적으로 갖춰야 할 이성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래서 무조건 살아가기 위해서라는 말과 살아남기 위해서라는 말이 사라졌으면 한다. 더불어 사는 인간 다운 사회를 만들었음 한다. 사회에 약간 부적응이면 어떠랴 착한 사람이 대우받는 사회였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