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키워주는 창의력이 공부력이다 - 상상력이 두뇌를 깨운다!
전경원 지음 / 아주좋은날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말 그대로 아이의 창의력을 엄마가 키워줘야 한다는 글이다. 그래서 책 내용에 따라서도 그렇고 아이의 능력을 관찰하고 창의력 공부를 시켜주는 것도 그렇고 해서 초등 입학 하기 전까지의 엄마들에게 강추한다. 초등학교 들어가기전의 자녀를 둔 엄마들이 본다면 충분히 아이의 창의력 키우기에 바로 돌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내용은 앞으로의 트렌드는 어느 한곳에 속한 아이들보다 창의력이 두드러지는 아이가 성공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있다. 물론 응용력이 떨어지는 사람보다는 센스있는 사람들이 각광받고 있는 요즘 시대에는 어느 한 곳에 갇혀 옴짝달싹못하는 사람들보다는 융통성이 있고 꿈을 향해 응용하는 사람들이 더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아이를 키우기에 점점 더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부모들이 많은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아직도 아이들에게 "예" "아니오" 로만 답해달라는 사람들이 많다. 왜냐하면 부모들이 그렇게 교육을 받고 자랐고 거기에 길들여져 있어서 그런 말에만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부모들이 그냥 학원으로만 보내서 교육을 시키는 것이 잘하는 것이고 바르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교육을 받는 아이들은 일찌기 꿈을 꾸는 것에서 멀어지기만 한다. 그래서 그 아이들에게 어릴때부터 창의력을 키워주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가장 가까이 있는 부모가 아이를 관찰해서 아이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 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물론 부모들도 생각의 변화가 필요하다.

어떤 일이 생겨났을 때 어른들의 잣대가 아닌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혹 아이가 학교를 유치원에 가기 싫다 할 경우에 윽박질러서 보내기보다는 생각을 충분히 듣고 결론을 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의 어른들은 아이의 관점에서 이야기하기 보다는 어른들의 잣대에서 반응을 할 경우가 많다. 창의력을 도와주지 못하는 부모들은 차라리 아이와 떨어져 지내는 것도 아이의 창의력을 키워주는 한 방법이란다.

우리 아이는 벌써 초등학교 3학년이 되었다. 창의력이 형성되는 시기는 지난 것 같다. 더군다나 이제까지 교육으로는 창의력을 키워주기보다는 창의력을 죽이는 역할을 더 많이 한 것 같다. 그래서 책을 읽어가는 내내 반성에 반성을 거듭한다. 나 자신이 이 책을 읽음으로해서 얼마나 나아질지는 모르겠으나 책속의 많은 부분에 공감하는 엄마로서 변화를 가져볼 생각이다. 물론 생각만 해서는 되지않고 행동으로 옮길 것이다. 그래서 그동안 죽여왔던 내 아이의 창의력 키우는 노력에 한발자욱 다가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