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 사는 행복한 정치 ㅣ 더불어 시리즈 1
서해경.이소영 지음, 김원희 그림 / 청어람주니어 / 2009년 10월
평점 :
이 책은 정말로 더불어 사는 행복한 정치를 알려준다. 눈높이가 어린이를 위한 책이라 아주 쉽게 정치에 대해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란 그리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가 흔히 접하기 쉬운 글들을 통하여 알려주고 있다. 게다가 아이들이 그것을 읽고 생각 할 수 있게 생각나눔의 자리인 생각의 깊이 자리도 함께 있다. 그래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 즉 자기의 생각을 말 할 수 있는 것이 정치라는 사실을 이야기 해준다. 그것이 반대로 이야기 하던지 찬성을 하던지 간에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부끄러움을 먼저 느끼게 되었다. 내가 이디어트이기 때문이다.
"이디어트" = 정치에 관심없는 시민이란 뜻으로 예전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 말이 - 바보나 얼간이, 지능이 세살정도 수준인 사람- 을 뜻한단다. 즉 정치에 관심없는 사람은 바보나 얼간이란 말이다.
우린 흔히 살아가는게 바빠서, 해야 할 것이 너무 많아서 또는 정치하는 사람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란 생각으로 정치를 어찌하던지 관심없어져 버렸다. 그래서 투표할 땐, 바른말이 필요할 땐 입 다물고 있다가 나중에 정치를 잘 했니 못 했니란 갑론을박을 하기도 한다. 더 심할 경우엔 그 사람들이 현재의 민주주의를 망가뜨리고 있더라도 관심도 없는 것이다. 나도 이디어트였다.
더불어 사는 행복한 정치란 책을 봤을땐 머리가 먼저 아파오기 시작했다. 정치란 이야기 자체가 경제만큼이나 어렵고 어려운 분야이다. 게다가 어중간하게 말을 했다가는 뼈도 추리지 못할 것으로 알고 있었다. 하지만 정치란 그리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촛불소녀들 이야기들도 보면서 가슴이 찡했다. 그때 동참하지 못했기에. 그냥 어린아이들이라고 치부해 버렸기에.
언젠가 tv에서 그 주최를 한 아이들 다시 찾아간적이 있었다. 그들은 자기의 소신을 적어서 그들만이 할 수 있는 메일로 그래도 우리나라에서 알아줄 만한 정치를 하는 사람들에게 보냈단다. 메일로 보낸 사람들 수가 그리 작지 않았던 걸로 기억한다. 근데 답메일로 돌아온건 딱 한 통이란다. 게다가 그 메일 내용은 누가 시켰느냐. 시킨사람들에게 속지 말고 학업에 전념하라는 이야기였단다.
그것을 보면서 우리나라 정치하는 어른들은 이제 어린 아이들을 따라 갈 수가 없다는 것을 알았다. 본인들의 생각에서 벗어나지 않고 지나간 일에만 값어치를 두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이책은 울아들(초3)이 조금 더 자라면 보여줘야할 필독서이다. 정치란 어떤 것인지. 자기 목소리를 어찌 내는 것인지를 알려줄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