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지 말아요, 티베트 - 히말라야 넘어 달라이라마를 만나다 ㅣ 맛있는 책읽기 6
정미자 지음, 박선미 그림 / 책먹는아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의 눈으로 티베트의 현실을 알려주고 있는 책인 것 같다. 어른들의 관점으로 봤다면 정치나 다른 어떤 것이 개입되어있을 수 있다 생각하지만 주인공이 한국의 아이 보건이라 더 진실성이 담겨있는 책인 것 같다.
보건이는 아버지의 일 관계로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길을 따라 상해정부가 있던 중국으로 가게 된다. 그기에서 일을 끝내고 라사로 비행기를 타기 위해 기다리던 곳에서 예전 몸의불편함 때문에 친구들에게서 왕따를 당했던 현석이랑 닮은 잠양이를 만나게 된다. 현석이는 몸은 비록 아프지만 보건이에게 참 잘해주었다. 그런데 보건이는 그 친구랑 친하게 지내면 다른 아이들이 자신을 왕따시킬 것 같아 현석이를 모른체 했는데 어느날 현석이는 수술하다 이 세상을 떠나게 된다. 현석이가 떠나고 난뒤 보건이의 가슴에 친구를 모른체 했다는 미안함이 아프게 가슴깊이 남겨져 버렸다. 그런데 그 아이를 닮은 잠양이가 히말라야를 넘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아빠와 함께 넘기로 결심한다.
티베트는 중국에 나라를 빼앗겼지만 독립을 힘으로 요구하지는 않는다. 그것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죽었기 때문이다. 더이상의 희생을 포기하고 달라이라마는 인도의 다람살라로 망명해서 그곳에서 망명정부를 두고 티베트인들과 중국사람들을 함께 기도 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에 있는 티베트 인들도 독립을 위해서 싸우기 보다는 망명정부가 있는 다람살라로 가서 살고 달라이라마 밑에서 함께 살고 싶어한다. 그래서 미래의 자신들에게 힘이 되길 바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길고도 힘들면서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히말라야 여정을 하는 것이다. 추위와 중국공안들의 눈과 총을 피해서 낮에도 위험한 길을 밤에 걸어가야 한다. 부모님들은 아이들만이라도 잘 살라고 아이 혼자라도 보내는 것이다. 그 길을 떠나는 사람도 그 길을 안내하는 사람도 모두 아픈 사연들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 사연들을 TV 에 방영하는 것도 무지 힘들다. 그들의 얼굴이 세계로 나갔을 때 고국에 있는 가족들이 힘들기 때문이다.
이 책에선 다행히도 히말라야 등정에 기자가 있었기 때문에 총격전이 카메라에 담겨졌다. 게다가 그 머나먼길을 걸었던 한 분이 얼굴공개 인터뷰까지 해서 많은 이들에게 그들의 고통과 중국의 만행을 알릴수 있었다.
하긴 그렇게 많이 알리더라도 공식적으론 다른 나라들에선 힘이 없는 티베트인들을 도와주지는 못할 것이다. 그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현실이다. 다만 정의와 함께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들을 응원해 줬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래서 그들을 조금씩 도오주면 티베트인들도 힘을 낼 수 있고 언젠가는 독립할 날이 빨리 올 것이다.
우리나라의 예전 현실과 닮아 있어서 무지 가슴아팠다. 나라잃은 사람들이 발생하지 않고 본인들의 나라에서 본인들의 말과 글을 쓸수 있었음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