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 땐 이런 책을 읽어라
박자숙 지음 / 창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이책도 일종의 독서로 사람을 치료하는 종류중의 하나인것 같다. 책 하나로 마음을 치료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내가 꼭 옆에 끼고 있어야 할 책인 것 같다. 왜냐면 이곳에 나오는 책중에서 절반이 넘는 책을 나 자신은 읽어본책이다. 다만...책을 거의 다 알고 있으면서도 적재적소에 맞게 추천을 못한다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청소년들에게 이를 때 : 꿈을 꿔, 눈을 떠, 힘을 내, 짬을 내...그에 맞는 책을 권하는 책이 담겨져 있다.

이책의 저자님은 머리말에 아들에게 그때 맞는 책을 권해주어 오히려 아이도 책과 함께 성장하게 되었다고 이야길 했다. 얼마나 좋은가.. 마음이 아플때 책을 처방해 주고, 또 그 책을 읽은 아이의 마음이 치료되니 그 보다 좋은 약이 어디 있으며 그보다 좋은 의사선생님이 어디 있으랴..나 또한 이렇게 아이에게나 누구에게나 권해 줄 수 있음 얼마나 좋으랴..특히나 엄마가 자녀에게 이럴땐 이런책..저럴땐 저런책을 권해주면 더 좋을 것 같다. 그래서 이 책도 엄마가 자녀에게 들려주는 형식으로 쓰여져 있다. 그 이야기를 받아 들임으로써 아이의 마음도 치료해주고 유대감도 더 할 것이다. 강압으로가 아니라 서로 함께 하는 취미. 마음의 따뜻함 그 모든것이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난 누군가가 책 좀 권해 주세요 란 말이 제일 무섭다. 내가 읽기엔 좋은 책들이 과연 상대에게도 좋을 지 확신이 서지 않는 것이다. 아마 내 책읽는 방법이 문제가 있는 것이리라. 그렇지 않고는 좋고 좋은 책을 권할 수 없는 이유를 모르겠다..
그래서 이 책을 옆에 끼고 있다가 추천해 달라는 사람 있으면 추천 해줘야 겠다.

책 가운데 [하쿠나 마타타] 라는 책을 이야기하면서 우리가 평소에 쓰는 말이 무엇인지를 일깨워 준다. 그 말들은 거의다 부정적인 말투, 부정적인 생각, 부정적인 대답 이라는 것이다. 즉 부정적인 말ㅇ은 부정적인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고 부정적인 것은 나쁜 결과만을 초래할 뿐이라는 것이다. '난 안 돼' '난 못해'는 바보들이나 입에 달고 사는 말이란다.
근데...나는 긍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저 말들은 내가 가장 많이 쓰는 말이다. 무조건 못한다. 안된다. 나보단 다른 사람들이 더 잘할 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뒤로만 빼니 당연 나만 발전이 없고 다른 님들은 발전이 있는 것이다.
누군가 이야길 했다. 자녀에게 있는 단점 찾기 하지 말고 장점을 100개나 찾으란다. 100개는 말이 100이지 개구쟁이인 울 꼬맹이에게서 찾기엔 엄청난 숫자이다. 열이라도 넘으면 다행일 것 같다. 근데 찾아야 한다. 그래야만이 내 아이나 나나 둘 모두에게 앞으로의 삶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걸 알면서도 하지 못하는 것이랑 무조건 해야 한다라는 마음가짐이 있어도 안 된다는 말을 먼저하는 것은 아직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많이 읽고 나의 것으로 만들면 추천도 할 수 있을 것이겠지..부정의 말을 쓰지 말라고 하는데 습관은 오래 가는 것인가 보다. 지금도 쓰고 있는 것을 보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