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워
배명훈 지음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운 생각을 이야기한 책이다.
바티칸 로마처럼 한 도시가 나라를 이루는 곳이 있긴 하지만 674층 빈스토크란 타워가 하나의 나라라는 개념은 좀 특이할 뿐이다. 674층이나 되면 거의 하늘에서나 사는 것과 같다. 그 안에 모든 것이 다 있다. 직장도 군대도 시장도 쇼핑할 수 있는 공간도 말이다. 게다가 부자와 가난한 사람도 있다. 층수가 구분되고 엘이베이터가 있다. 층수가 높으니 엘리베이트 타기도 힘들다. 얼마나 복잡한지 엘리베이트 노선도까지 그려서 외워야 할 정도 이다. 그래도사람들은 그곳이 로망이다. 꼭 부촌개념인 것 같다. 아님 이상적인 느낌 같은거 말이다.
하늘과 가깝고 혼자 마음대로 사는 타워같아 바벨탑이라고 살지 않는 사람들은 말하지만 타워안에 사는 사람들은 그말을 듣기 무지 싫어한다. 자기네들은 결코 사람사는 곳이지 바벨탑이 아니라는 것이다. 게다가 사람사는 세상은 어디나 독재자가 있기마련인가 보다. 이곳에서도 엄연히 존재한다. 그래서 언론도 그리 자유롭지 못하다. 거기다 뇌물. 청탁 같은 것도 만연한 것 같다. 청백리면 안된다는 글이 살짜기 엿보인다.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단락단락 분리되어 있는 글인듯 하면서도 타워 전체라는 개념으론 한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 책이다. 그 사람들은 그곳에서 태어나서 자라서 편안히 살고 있는 일반적인 사람과 그곳에 가고 싶어서 그동안 살았던 본인의 삶에서 벗어나 들어간 사람. 거기다 너무나 단단한 권력앞에 입 다물고 살아가는 사람들. 그 세계의 권력중심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다.
너무 네모난 건물이야기니까 사랑이 없을 것 같지만 사랑이야기도 있다. 인터넷의 파급효과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사건 하나도 보여준다. 게다가 따뜻한 정이 흐르는 여전히 사람사는 곳..다소 삭막하긴 하지만 그래도 사람사는 이야기이다.
그곳에서 520층 이야기가 나온다. 건물이 얼마나 거대한지 520층 하나만 관찰해도 책이 나온다. 수평주의자와 수직주의자도 나오는데 그 둘의 융합이 있어야만 세계가 조용할 텐데 여전히 사람들은 자기의 권력이 들어간 한쪽을 우선시한다. 그 한쪽을 지키려고 싸움을 하는 것이다. 이것도 흑백논리안에 존재하는 이야기인 것이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흑백논리. 모두가 공존해야만 사람사는 세상인 것을.. 사람들은 가끔씩 그것을 잊어버리는 가 보다. 그래서 여전히 이데올로기적인 싸움이 계속 되는 거겠지. 우리는 권력이 안 들어간 쪽으로 손을 들어주는 거지. 것도 나의 욕심과 결합된 것이겠지만 말이다.
누구나 잘 살 수 있는 곳. 누구나 이상을 꿈 꿀 수 있는 곳, 권력이 사람사는데 피해를 주지 않는 사회는 오지 않는 것일까?..그래서 서로 사랑할 수 있는 세상. 누구나 피해를 입는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세상이 왔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