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입문 만화로 읽는 중국전통문화총서 6
주춘차이 지음, 장우창.백유상.정창현 옮김 / 청홍(지상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의학은 한마디로 쉬운듯 하면서도 어렵다.  우리의 민간요법에 알게 모르게 스며들어 있어서 사람들이 쉽게 보고 접하면서도 그것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지 못한다. 물론 학문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한의학은 무지 어렵다. 용어자체도 어려울 뿐더러 그것으로 사람을 살리고 죽이는 학문이기에 더욱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 책은 그 어려운 한의학을 그냥 글로써 읽히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그림으로 함께 설명해주어 이해를 돕고 있다. 그렇다고 쉽게 모두가 다 따라하면 다들 한의사가 될 것이지만 모든 것을 이해하기는 결코 쉽지가 않은 것이다.

한의학은 무조건적으로 자연을 이해해야 한다. 음양과 오행은 독립적이면서도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이 모든 기혈과 경락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혈따라 흘러가는 12가지의 병맥을 그림을 통하여 우리에게 알려준다.
자연에서도 음양의 구분이 있지만 사람의 성격에도 음양이 있고 사람의 몸에서도 음양이 있다. 외부뿐만 아니라 몸안에 있는 장기또한 음양 구별이 있다. 그 음양의 조화에 의해서 건강하고 건강하지 않고가 정해진다.
또한 오행이란 것이 있다. 오행은 다섯가지 물질의 운동이다. 즉 목,화,토, 금, 수 가 오행이다. 이것또한 음양 이론에 연결고리로서 음양오행설 의 기본에 따라 모든 몸의 변화를 알 수가 있으며 그 병을 고치는 법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몸의 순환을 잘 이해하면 병이 나지 않게 조심 할 수 있으며 혹 병이 낳더라도 고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몸 안에는 오장육부가 있고 기혈과 경락이 있으며 그 혈로 인해 맥이 존재하는 것이다. 맥이란 피의 흐름이다.
세세히 그의 모습과 그들이 하는 일들을 잘 관찰해두면 빨리 병남을 파악할 수 있고 그 병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계절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계절에 따라 병도 생기지만 계절과의 관계를 살펴 잘 물어봐야 한다.
또한 한의학은 변증법을 활용한다. 병증법이란 망진(안색보기) - 문진(소리듣기) - 문진(물어보기) - 절진(맥짚기) 순에 따라 병을 구분해 낸다. 

한의사들은 사람과의 통용이 잘 되어야 할 것 같다. 하긴 어떡해 척 보면 무슨 병인지 알수 있겠는가. 철저한 관찰력과 문진에 의해서 일단 병을 잡고 나머진 맥을 짚어서 그 병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경험이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한의사들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야 한다는 것인가 보다. 공부만 해서 의사를 하기엔 자연의 이해부족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책속의 공부만 할 것이 아니라 모든 생리의 이해가 한의학의 기본이란다.

사람을 대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사람과 자연의 합일은 장수의 기본일 것이다. 모든 것을 섭취할 때도 너무 과하지도 않고 적지도 않게 섭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몸의 움직임도 때에 맞추어 해야 할 것이다. 그러니 평상시에도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애를 써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