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에 있는 암자를 찾아서
이봉수 지음 / 자연과인문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인가에 계기가 되는 것이 있는 것은 참 좋은 일인 것 같다.
어떠한 일에 모토가 생기고 그것을 행하기 위해서 용기를 내어 발로 옮길때 인생의 즐거움이 생기는 것일 것이다. 그 발걸음으로 새로운 것을 알아감에 행복하고 또 새로운 곳으로 갈 수 있는 힘을 줄 테니까..
이봉수님은 이순신 장군의 발걸음을 따라 섬으로 가게 되었고 그 섬에서 잘 곳을 마련하기 위해서 암자를 찾으셨단다. 참으로 기발한 생각이다. 다들 민박이나 텐트를 준비할 텐데 암자를 찾을 생각을 하셧으니 섬과 암자의 또다른 조화를 만드셨다. 아주 생기있는 조화이다. 

이 분은 다행히 절을 좋아하신다. 그래서 스님들과의 친분도 금방 맺어 지신다. 그래서 글이 더 생동감 있다. 누군가로 부터 친분을 쌓아서 교리까지 듣는 다면 혼자만의 여행도 혼자이지는 않으리라. 항상 어디를 가던 그 암자의 주인과 함께 있을 테니 말이다. 중간중간에 지은이의 시는 또 감칠맛나게 좋다. 자연과 함께 하시니 자동으로 시인까지 되신것 같다. 자연과 더불어 입에서 나오는 것이 다 시어가 되는 것 같다.

섬에 있는 암자를 찾아서를 따라가다보니 흔히 들어서 알고 있는 유명한 섬들도 많지만 우리가 듣지 못한 섬들이 더 많다. 하긴 우린 굵직굵직하고 유명한 섬만 가보았지 남해의 무수히 많은 섬들을 다 가보지는 않으니까 들리지도 않는 것일 것이다. 그 섬에서 사는 사람들은 다들 순수하시고 정을 듬뿍 주시는 분들이시다. 우리네 농촌에서의 삶과는 또다른 갇혀있는 삶을 사시는 분이시니 그 섬이 세상의 전부이시다.
그래서일까..섬에서도 그렇고 암자에서도 그렇고 사연들이 많다.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운을 지켜낸 연화도의 보덕암, 역사와 전설의 고장 사량도, 김수로 왕비 허씨 왕후의 탑과 돌의 재질이 같다는 흑산도 무심사지 삼층석탑..등 저마다 많은 사연들을 안고 살고 있다. 그 사연들을 다 풀자면 한이 없을 것이다. 그 사연들을 조목 조목 따라가면서 읊어 주시고 함께 느껴 주신다.
그리고 내가 갔던 울릉도.. 그냥 관광만 했으면 님이 이야기하신 것을 몰랐을 텐데 그때 깊숙한 곳으로 들어갔다가 자연의 강한 힘때문에 다시 한발 한발 걸으면서 도동으로 걸어 나왔기에 님이 가신길을 함께 공감할 수 있었다. 독도를 못 가본 것이 아쉽긴 하지만 이 책과 함께 그곳을 갈 수 있어 좋았다.
무엇이든 단순한 눈으로 관광과 사진으로의 관광은 그 사진을 봤을 때만 살아나는 거지만 직접 내 발로 한발 한발 발도장을 찍었다면 지역만 이야기해도 환하게 떠오르도록 뇌리에 오래 남아 있는 것일 것이다.
이글은 작가님의 발자국이 확실하게 찍혀져 있다. 그래서 이글은 살아서 움직인다. 그 발자욱을 하나씩 따라가다 보면 우리 자신도 그 곳에 대해서 느낄 수 있게 된다. 섬의 이야기도 함께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