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물리상식 교실밖 상식 시리즈 5
김기태 지음 / 하늘아래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물리라면 약간 머리가 아파 올려고 합니다. 너무 어렵고 힘들다는 생각이 먼저 들고 전문적인 용어가 필요할 것 같고, 고리타분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 두꺼운 안경을 끼고 힌 가운을 입고 있는 모습이 떠 오릅니다. 그만큼 우리와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해서 그럴것입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엔 약간 안 좋은 모습으로 그려진 것이 사실이기도 하고 그걸 보고 자란 사람들이 물리하면 고리타분하다라고 생각하고 가까이 가려고 하질 않기 때문이겠죠. 학교에도 물리시간이 있는데 별로 어렵지 않고 재밌게 잘 할 수 있는데 공식부터 나오는것이 거부감을 먼저 가졌었죠. 그렇다고 물리점수를 나쁘게 받지는 않앗지만 말입니다.

이 책은 청소년들을 겨냥해서 만든책이라서 그런지 무척이나 재밌게 읽을 수 있게 되었어요. 우리가 사는 별 이야기도 아주 재밌게 적혀져 있구요. 게다가 예전 우리가 공부할 땐 명왕성이 9행성에 들어갔는데 지금은 일반 소행성으로 분류되어서 우리 태양계에는 8행성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사실을 머리에 집어 넣었다. 게다가 화성과 목성사이에 그렇게 큰 소행성 벨트가 있는 줄도 몰랐다. 그냥 떠돌아 다니는 운석들이 가끔 지구에 떨어지는 구나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운석들도 지구와 같이 똑같이 태양을 돌고 있던 것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과학의 발전으로 더 많은 것이 밝혀져서 예전엔 긴가민가 했던 것이 명확하게 밝혀지고 명왕성같이 지구와 같은 행성이다가 다른 소행성 발견으로 인하여 소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우리가 보기에도 이렇게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데 물리를 어려워 하는 청소년들이 보면 더 좋겠다라는 생각을 해본다.이렇게 보니 우리를 가르치던 물리 선생님들도 좀더 재미있고 쉽게 물리를 가르켜 줬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그분들이 딱딱하게 가르치게 되면 안그래도 물리란 어렵다란 생각을 가진 아이들에게 더 힘들다라는 생각을 가져다 줄 것 같다. 그들이 물리를 쉽게 생각하면 우리의 미래가 조금 달라지지 않을까란 생각을 해 본다. 물리를 친구삼아 함께 해 나간다면 과학발명도 쉽게 할 수 있지 않을까..요즘 아이들의 무한한 창의력을 밖으로 표출시키려면 그 애들을 가르키고 앞으로 이끌어줄 선생님과 부모님이 이 책과 함께 하면 더 좋을 것 같다라는 생각도 하게 한다. 왜 우리 어릴땐 이런 선생님이 없었는지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