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혼식
야마모토 후미오 지음, 김미영 옮김 / 창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지혼식 (紙婚式) : 결혼 1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으로, 부부가 서로 그림, 책 따위의 종이로 된 선물을 주고 받는다
라는 뜻이란다. 그런데 난 이책을 그냥 한글적인 제목으로만 해석해서 종이지가 아닌 그칠지로 생각했다. 그래서 결혼식을 했으니 그 식을 마치는 의식인 지혼식을 하는 것이란 단순한 생각을 했었다. 물론 이혼과 별거란 말이 있지만 신종언어인 지혼식인줄 알았는데 결혼 1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이라니..ㅠ.. 얼마나 다르게 생각했는지..

이 작가님의 제목은 많이 접해봤지만 글을 직접 읽긴 처음이다. 작가님이 결혼도 해봤고 이혼도 해봤으며 재혼까지 해서 그런지 결혼생활에 대해서 너무나 잘 이야기 해 놓은 것 같다. 물론 나두 아가씨가 아니라 결혼을 해서 어느정도 살아봤으니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이겠지만 말이다.
이 책은 하나의 소설이 아니라 여러가지 단편을 넣어서 한권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내용도 가지가지이고 결혼생할도 가지가지 이다. 하긴 결혼해서 사는 삶이 여러가지가 있으니 그렇겠지만 말이다. 결혼을 통해서 서로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 기싸움하는 것도 나오고, 어릴때의 자란 한경때문에 병든사람들을 병적으로 싫어하는 한 남자가 결혼으로 치료해 갈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비춰주기도 한다. 
이야기를 읽으면서 공감이 가는 이야기도 있지만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 왜 이렇게 살까란 생각도 해본다.
거기에 "정숙"이란 소제목의 이야기는 약간 충격적이기도 하다. 착한 여자와 사는 바람끼 많은 남자가 자신은 바람을 맘껏 피우면서도 자기 와이프는 그렇지 않을 거라는 믿음에 의외의 복병이 나타난다. 그냥 TV에 나오는 아이돌 스타한테 한방 먹게 된다는 이야기다. 남자의 이기가 가져온 결혼불화의 시초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 여자의 이야기가 어찌보면 이해가 되기도 한다. 여자는 남자의 바람끼를 무조건 참아주지는 않기 때문이다. 겉으론 너무나 그런세상에서 자라났기에 당연하게 생각은 하지만 그렇다고 마냥 봐주기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본인의 자리를 본인이 점점 만들어 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첨의 이야기 "도게자" 도 그런 것 같다. 남자가 기싸움을 오래 하다보니 말을 할 때를 지나쳐 버리고 여자는 끝끝내 복수를 하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결혼은 여자와 남자가 살아가는 것이다. 그것도 전혀 환경이 다른 곳에서 사고를 다르게 하는 사람이랑 사는 것이다. 결혼전과 후를 비교해서 같기를 바라는 것은 잘못된 것 같다. 이혼사유가 결혼전과 결혼후가 다르고 서로의 자존심을 끝까지 고집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족이 되려면  서로가 조금 다르더라도 이해를 하는 것이 우선인 것 같다. 같은 부모에게서 자라난 형제들도 다 마음에 들기때문에 살지는 않는다. 조금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가족이니까 이해하고 살게 되는 것이다. 다만 가족은 끊을 수 없지만 부부는 끊을 수 있는 것이 다르긴 하지만.
서로의 노력이 있어야만이 본인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 같다. 서로 서로 노력해서 행복한 결혼생활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