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딛고 세상을 향해 뛰어올라라 - 아버지의 인생 수업
송길원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천서를 읽고 이 책을 지은 분과 책 제목이 이렇게 가슴에 와 닿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인 것 같다. 다들 추천서는 그러려니 하는 걸로 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추천서 한글에 자기 아들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 이 청년은 우리 사회에 영향력을 주는 분 100분 정도를 안버지의 인연을 통해 만나고 싶어 하는 제 아들입니다" 라는 말이 있는데 그말이 이 책을 쓰신 작가랑 딱 맞는 말이다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그렇게 때문에 이런 제목을 붙이셨을 테지만 말이다. 보통 아버지들은 자기 아들에게 단 하나의 아버지로 남길 바란다. 그 자신이 비록 바른 길을 걷고 계시지 못할지라도 당신을 자기 아들의 견본으로 삼길 바라실 것이다. 다른 아버지를 소개해 주는 분이 그리 많지 않으리라 생각되는데 여기 이 한분은 자신을 다리로 삼아 여러 훌륭한 다른 분들을 만나길 바라고 계시는 거다. 아버지라면..아니 부모라면 이런 부모가 되고 싶지 않을 까 싶다.
 
그리고 제목이 너무 마음에 든다. "나를 딛고 세상을 향해 뛰어 올라라" 얼마나 좋은 말인가.. 어린 사람들은 모두가 어른들의 말들을 디딤돌로 삶지 않으면 결코 계단을 올라 갈 수 없다. 본인 혼자의 노력만으로는 세상을 향해서 살아가기가 무지 힘든 것이다. 어른들의 말을 디딤돌로 삶아 밟고 올라가더라도 시행착오를 무수히 거친 후 여야만이 어느정도 혼자 발로써 걸어 갈 수 있을 정도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어른들 말을 그냥 딛고 오르기엔 눈치가 무지 많이 보인다. 이렇게 말로나마 나를 딛고 뛰어 오를 수 있음 뛰어올라라고 이야기함 얼마나 좋은 일이될것인지.. 듣는 나 조차도 기분히 훨씬 더 좋아진다. 기꺼이 선조들를 딛고 세상을 향해 뛰어 올라가야지란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인지 이 책의 내용은 조목 조목 부모라면 아니 인생의 선배라면 후배들에게 해 주고 싶은 이야기들로 빼곡히 자리하고 있다. 아이들이 질문해 오면 무조건 하고 당돌하고 버릇없다하고 내쳐 버린 일이 한 두번이 아닌데 그것이 아이들에게 질문하고픈 의욕을 끊어버리는 일이 된다고 하니 얼마나 나쁜 일을 그동한 해 왔는지를 알게 해준다. 아이들에게 해주는 이야기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나 자신이 읽으면서 반성도 하고 내 아이가 자라서 이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가 되었을 때 살짜기 밀어주고 싶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세상을 향해서 나아가는 발걸음이 조금은 가벼웠으면 하는 바람이다.
 
보통의 아버지나 부모들처럼 나 자신도 거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에 내 아이에게 다가가고 싶은 부모이기 보다는 그냥 목에 힘만 주는 부모로 남아 버릴 수도 있을 거란 생각을 해본다. 그렇게 되면 아이가 자라서 나랑 이야기하기를 꺼려 할 것이다. 그때가 되어서 나 자신이 아이와 대화를 하고 싶어하려 해도 아이가 거부할 것이다. 그 거부하는 마음을 가지고 대화를 들은 들 그 대하가 온전하기 않을수도 있겠기에 그때 이 책을 중간 중간 읽기를 권할 것이다. 그럼 대화보단 책 읽는 것이 편할 것이기에 받아들이기도 쉬울것 같고 그 쉬움이 세상을 향한 발걸음을 쉽게  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뛰어 오르지도 않을까란 생각을 살짜기 해본다.
 
그렇게 되기 전까지 괜찮은 부모가 되면 더 좋겠지만 말이다. 아이에게 전하기 전까진 나쁜 부모가 되지 않기 위해서 노력해 갈 것이다. 내 아이도 나를 딛고 세상을 행해 뛰어 오를 수 있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