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늘의 문화사 - 하늘의 신비에 도전한 사람들의 네버엔딩스토리
슈테판 카르티어 지음, 서유정 옮김 / 풀빛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일단 나보다 먼저 살다 가신 분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괴테, 하늘의 색까지 관찰하기 시작한 케플러 까지.. 그들이 있었기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하늘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고 시작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이 책을 읽기 까지 하늘에 대해서 별로 생각해 본적이 없다.
태양이 중심에서 돌지 않고 지구와 많은 행성들이 태양의 주위를 돈다는 것을 당연한 현상으로 받아들였다. 별로 신경도 안 쓰고 중요하게도 생각지 않은 하늘을 이렇게나 열심히 연구하여 후세의 사람들이 당연한 현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해준 그 노력에 책을 읽는 중에서도 감사함을 느꼈다. 그 힘든 싸움. 목숨까지 걸고 한 연구를 가만히 앉아서 받아먹는 내가 미안한 감정이 먼저 들었다. 그 당시에 그냥 몸으로 하는 관측으로도 지금의 수치랑 그리 많은 차이가 나지 않는 다는 사실에 놀랍고 또 놀라울 뿐이다. 현대에는 그분들의 연구를 발판으로 삼아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태양계에 다른 은하계가 존재 한다는 사실까지 나오게 되었고 달나라까지 갔으며 우리네 미래에는 다른 행성까지 여행하는 걸로 생각의 발전을 이루게 된 것이다.
하늘을 연구하기 위해서 목숨까지 위험할 지경에 갔던 갈릴레이 이야긴 모두에게 벌써 유명해져 아는 분들은 모두가 알고 있는 이야기다. 그렇지만 다른 분들.. 하늘을 날기 위해서 열기구를 연습하다 결국엔 목숨까지 버린 로찌라는 사람은 정말 대단하다는 말 밖에 할 말이 없다. 또 다른 분들의 희생을 디딤돌 삼아 지금 현대에는 열기구 뿐만 아니라 비행기까지 발전이 되어온 상태이다. 그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맘껏 날 수 있는 기쁨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몇시간 걸리지 않아 날아 갈 수 있게 되었다. 갈릴레이의 이야기를 들으면 들을때마다 인간의 이기심에 손을 들고 만다. 어떻게 하느님을 생각하는 기독교 사상이 판 치는 세상에서 자신들의 사고랑 다르다고 사람을 죽일수도 있는지 그들의 이기심에 가슴이 아파왔다라고나 할까.. 사람들은 다수가 승리할 때 그 다수의 관점에 박힌 사람들의 무서움이 그렇게 강할 줄은.. 그 이야기를 듣거나 읽을 때마다 가슴이 아파온다. 어짜피 오늘날 그 모든 것을 인정하고 그들의 삶에서 연결되어질 뿐인데 말이다.
책을 가볍게 생각했는데 하늘을 연구하는 우주과학을 아주 흥미롭게 역사로 이야길 해 놓았다. 우리네 같이 관심없던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하늘의 변화를 이해 하고 공부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학생들의 하늘에 관한 리포트로도 손색이 없다. 하늘에 관해서 공부하고픈 누구라도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이다.
울 꼬맹이 얼마전에 우주과학 소년단에 들어간다고 하던데 읽혀주고 싶은 책이기도 하다. 그럼 하늘에 대해서 좀더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 같다. 또 천문학이란 것이 학문이기 보단 친구가 되지 않을 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