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그리고 꽃들의 자살 (보급판 문고본) - 동심으로의 초대 어른을 위한 동화
이세벽 지음, 홍원표 그림 / 굿북(GoodBook)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어른들의 동화이다. 따뜻함이 느껴지는 그런 이야기다. 등나무의 삶을 통해서 인간의 삶을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등나무는 혼자 자라지 못한단다. 두개의 뿌리가 서로의 힘이 되어 기대어져 굳건하게 하나의 나무로 변화하는 것이란다. 등나무의 꽃이나 잎을 말려서 베게나 이불 홑청 속에 넣어두면 사이가 나쁜 부부의 사이가 좋아진단다. 돌아누워 자던 부부라도 안다리를 꼬고 부둥켜 안고 자게 된단다. 예로부터 내려오는 사랑의 비방이라네..ㅎ

자기가 풀인지 나무인지도 모르는 아주 여린 풀잎하나가 있었다. 이 풀잎은 어리기에 햇빛이 따가왔고 바람도 매서웠다. 그래서 모든 희망을 버리고 될대로 되라는 식으로 풀이 죽어 있었다. 그러다가 진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모든 태어난 것에게는 살아가야 할 의무가 있고 살아가다 보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소리이다.
그 소리에 힘을 내어 자라다 보니 풀도 아닌것이 풀에게 피해만 주는 땅을 기는 나무가 되어있었다. 주위의 다른 풀들에게 엄청 스러운 비웃음과 욕설을 듣게 된다. 본인마저도 괴물인 자기의 모습에 자포자기의 상태가 되어 계속 헤메게 되고 햇빛에 타 죽겠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그때 진리의 목소리가 들려오고 본인이 나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나무 됢에 약간의 우쭐함 마저 가지게 된다. 그러면서 비로소 느끼게 된다. 모든 것은 본인이 본인을 보는 눈에서 달라질 수 있다라고. 본인이 자신을 우습게 여기면 본인은 우스운 사람이 되는 것이고. 본인을 자랑스럽게 보면 자신은 자랑스럽게 되어있다고..
나무인 것을 알고 난후 땅으로 땅으로만 자라는 것을 활용하여 여행을 하게 된다. 여행중에 본인과 같은 나무를 만나게 되고 그 나무의 여행담을 들으면서 운명임을 느껴 서로 서로를 껴안게 된다. 서로를 껴안다 보니 어느 사이엔가 하늘로 올라갈수 있게 되었다.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가 되고 버팀목이 되어 주면서. 그러나 사랑의 결실인 꽃들도 키우게 된다. 살아온 세월이 길어지면 서로가 서로에게 상처가 되고 지겨운가 보다. 이 등나무의 사랑도 틈이 생겼다. 서로 에게 상처를 주면서 헤어질 용기를 내어가고 있던 어느날 마침내 헤어짐을 통보하게 된다. 하지만 그 순간 둘이 서로 껴안은 상태가 아닌 완전한 하나가 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둘이 완전한 하나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무지 아픈 고통과 서로의 가슴이 하나가 되려고 짓무르고 아팠던 것을 다 이기고 나니 완전한 하나로 변신한 것이다.

부부도 그냥 살아가게 되면 완전한 한 몸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살아가면 갈 수록 부부는 하나가 아니라 둘임을 더 피부로 느끼는 날이 많아진다. 하지만 그 고통의 순간을 이겨내면 등나무처럼 완전한 하나가 되지 않을 까 생각되어진다. 많은 부부들이 그 고통의 순간을 견디지 못하고 각자의 길로 간다. 그 고통이 누구나가 견뎌낼 수 있는 것이라면 모든 이가 한 몸이 될 수 있을텐데.. 이 등나무처럼 서로가 서로를 욕하더라도 잠시 참아낼 수 있으면 둘이었던 사실조차 잊게 하는 한 몸이 될 수 있을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