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9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소설
김연수 외 지음 / 작가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소설을 고를때 거의 나의 관점에서 고르게 된다. 대부분 내가 좋아하는 장르중 이야기 형식으로 되어 잘 풀리는..우리네 삶이 가장 찐하게 놓여있는 거기다가 약간의 역사가 더해지면 바로 구입을 해 버리고 만다. 거기다 주로 장편소설을 읽으니 단편은 잘 안 읽게 된다. 왠지 일의 전개가 시작되어지면서 바로 끝나버리는 것 같은 뭔가 모자른 듯한 것같이 생각되어졌다. 그것이 주로 장편에 길들여진 여파라고나 할까... 장편에선 일의 전개를 우리가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아주기 때문이다. 그곳에 익숙해져 있던 내게 단편은 새로운 이야깃거리이다. 할머니한테 옛날 이야기 들을때랑 애들한테 이야기해 줄땐 되도록 짧으면서도 삶이 묻어나는 그런 종류를 찾게 되는데 아마 짧은 글의 편리성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2009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소설은 나에게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준 책이다. 평상시에 접하지 않는 단편이라는 것이고 또 그 짧은글에서 작가님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최대한 집약시켜 놓은걸 보았으니 말이다. 작가님들 대부분이 처음 들어본 작가들이다. 그럴수 밖에 없는 것이 난 책을 읽으면서 작가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고 읽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다 읽고 난뒤 이 작가님은 누구구나 하고 지나가버리니 내 머리속에 남아 있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더군다나 이렇게 신예인 작가들이니 더 머리에 남아 있지 않는다. 하지만 이 작가님들은 신예지만 대단하다. 기존의 작가님들이 선정한 2009 오늘의 소설 한 자리에 떡하니 자리잡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2009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소설은 무척이나 괜찮은 책인 것이다.
이 책은 8분의 선정된 작가님들의 이야기와 그 소설들의 평론가님들의 해설이 있고, 또 9명의 서평가들의 가장 인기있는 작가님들의 소설이 소개되어지고 있다. 그곳에 내가 읽은책이 많이 없어 약간 속상하긴 하지만 서평으로나마 그 명성을 볼 수 있어 좋았다.
그냥 단편을 읽으면 이해 못해서 약간의 답답함과 호기심이 생기는데 이것을 해소 해주신다. 평론가님들의 해설을 읽으면서 아 그랬었구나란 고개도 한 번 끄덕여 진다. 그리고 한 발 더 다가가 이해도 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한 유주님의 " 재의 수요일"이 눈에 뛴다. 참 특이하게도 시대를 반영한다. 프랑스어에서 미래의 시제를 배우지 못하고 의심과 가정법을 배우고 있는 학생이자 직업인인 어느나라에서 왔는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왔다고 속이는 약간 시니컬한 그녀의 이야긴 우리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긴 것 같기도 하고 너무나 자기가 속하지 못한 세계에 불이라도 나기를 바라는 그녀를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함돈균님의 평론에서 잠깐의 이해를 구한다.
이렇게 우리가 만나지 못한 색다른 경험을 하게 되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