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말해줘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사랑의 대화로 여러 언어가 있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 책에선 또 다른 언어를 보여준다.
무언의 대화...짤막한 글로 이루어진 대화... 공원에서의 상황은 약간 끔찍한 상황을 이야기 해주지만 그럼에도 보통의 사랑의 대화보다 더 따뜻한 사랑의 언어로 다가오는 것은..그것이 사랑이어서 그러리라..

책을 다 읽게 되니 옮긴이의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원래 거기까진 잘 안 읽게 되는데 이번엔 그곳까지 읽게 되었다. 아마 책에 여운이 남아 책을 놓고 싶지 않았어 그랬을 거다.
"사랑을 말해줘"의 원제가 "조용한 폭탄" 이란다. 물론 전체적인 내용으로 봐서는 조용한 폭탄이란 제목이 어울리기도 하겠지만..난 우리나라 사람의 표현인 "사랑을 말해줘"가 제목으로 나에겐 더 가깝게 다가온다.  아마 이 책을 읽으면서 내겐 사회적인 것보단 사랑의 언어가 더 다가왔나 보다.

이 책은 귀가 들리지 않는 여자주인공과 방송국에서 다큐를 만드는 남자주인공의 사랑이야기다. 귀가 들리지 않는 여자라 베일에 가려진 그 무엇으로 남기고 싶어한건지 남자 주인공의 삶과 직장일 그리고 가족 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가 쓰여졌다. 들리지 않는 여자는 고요가 함께하고 들리는 남자의 삶엔 주위의 모든 소리와 함께 한다. 그것이 본인이 듣고 싶어 하는지 하지 않는지는 상관없이 말이다.

우린 가끔 듣고 싶지 않는 말도 귀로 듣게 된다. 전혀 나랑 상관없는 이야기들을 말이다.
그걸 들으면서 그냥 흘러듣기도 하지만 어느땐 내 속에 차곡차곡 쌓여지기도 한다.
말이 얼마나 불필요할 때가 많은지.. 그 말들이 다른 이에겐 소음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느끼고 있다. 또 말의 소통 또한 얼마나 어려운지~~~ 상대에 따라 칭찬이 되기도 하고 화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여기 주인공들은 필담을 주고 받게 되는데.. 필담을 주고 받을 땐 팬과 수첩..메모지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다 보면 어려움도 느낄 때가 있을 것이다.
우리가 생각한 사소한 것들을 말로 뱉어내기는 쉬워도 글로 적어서 옮기려면 한번 더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 말을 글로 옮기는 행동을 하면서 감정의 변화가 생길 수도 있는 것이다. 간혹 화가 났을 경우엔 옮기는 과정에서 화가난 감정이 식어버려 글로써 표현될 땐 아무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메모지가 없을 때도.. 또 글 쓸 상황이 되지 않을 때도 있다. 격한 감정일 수록 한 템포 쉬어가면 굳이 나쁜 말이 나오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선 가끔씩 필담으로 대화를 해 나가는 방법도 괜찮을 것 같다.

굳이 들을 수 있어도.. 말로 표현할 수 있어도 말이다. 편지랑 필담은 완연히 다르니까 색다른 경험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평범할 수도.. 아님 동정의 그냥 단순한 사랑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는 것을 사랑의 대화로 만들어주신 작가"요시다 슈이치" 님에게 감사를 드린다.

 " 괜찮다고 생각하는 마음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괜찮다고 생각하고 싶은 마음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괜찮다고 생각하지 않는 마음은 대체 어디로 가버린 걸까...........p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