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사진관
김정현 지음 / 은행나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우리 동네에도 고향 사진관이 있다. 한번도 그들을 가난하다거나 생각하진 않았다.
여기 촌에서는 보통 삼층건물에 있는 고향사진관은 부의 축에 들어간다.
예전 그 시대엔 부자만이 그렇게 고향사진관도 하고 예식장도 했다.
그래서 책 표지의 낡은 고향사진관 모습이랑 제목이 무지 맘에 들었었다. 왠지 친근하다고나 할까..

책을 읽으면서 주인공 서용준을 따라 맘이 아프고 안타까워 했으며 끝무렵엔 펑펑 울었다.
밤이어도 상관없었고 어른이어도 상관없었다. 오로지 꼿꼿하게 아들노릇, 표현못한 어설픈 남편노릇이지만 마눌에게 사랑받는 남편노릇, 그것의 연장선에서 자식의 편에서 아버지노릇한 이사람이 너무 안타까워서 울 수 밖에 없었다. 얼마나 가슴이 아리고 불쌍한지.. 꼭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는지 위에 계신 분에게 묻고 싶은 정도였다.
실화라는 것이 더 못 마땅했다고나 할까..실화가 아님 그렇게 보내지 않아도 되었기에~~

경상도 남자의 우직함.. 사랑한다는 살가운 말을 밖으로 표현해내지 못하는 남자.. 아파도 아프다고 말하지 못하고 그 모든 것을 혼자 감당하려 한 남자.. 오로지 아버지 어머니를 먼저 생각하는 남자의 삶.. 17년 동안 뇌졸증에 쓰러져 말도 못하고 계속 누워만 있는 아버지 봉양을 효도라 생각지 않고 당연히 해야 될 일이라고만 여겼던 남자.. 효자상이랑 말에 불끈 화만 낸 남자.. 그랬다 ..이사람 서용준이라는 사람은...

그런 사람에겐 아내도 자기의 선택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선택 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아내도 본인처럼 가족을 나의 도리라 생각하는 비슷한 사람이었기에 한 평생 아버지 봉양에 얼굴 찌푸림 하나 없이 생활 할 수 있었다. 그 하는 모습이 아이들에게 비춰져 사랑이 아래로 전해져 내려가는 모습은..우리가 흔히 성가정이라는 것과 닮은 꼴이라는 생각이 든다.

요즘 tv를 보면 어느시에서 주는 효자.. 효부상을 받는 모습을 많이 본다. 하지만 정작 효자. 효부들은 받지 못하고 언뜻 사람들에게 안좋은 소리 듣는 분들이 받는 다는 살짝 맛 간 소리를 들은 기억이 난다. 그땐 설마 그러려니 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정말 효자들은  그 상들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이해가 되었다. 그사람들은 사랑이 항상 부족하다고 느끼니까 받을 수가 없는 것이다. 사랑을 주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항상 충분하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니 상 탈만한 사람은 본인이 거부를 할 수밖에 없고 본인이 거부를 하니 상을 줄 수도 없는 일인 것이다.

본인이 이 세상을 떠나갈때 누구나가 다 잘 했다는 소리를 한다면 그보다 좋은 소리는 없을 것이다.  자식에게나 마눌에게나 부모님에게..그리고 친구들까지...
살면서 어느 누구에게나 섭섭한 일 한두번은 하게 마련인데 그것조차도 주위사람들이 생각을 하지 못하고 깔끔하게 보내주고 가는 것만 아쉬워한다면 이세상에 태어나 이름 석자 남겨놓고 떠나도 별 미련은 없을 것이다.
여기 주인공 서용준 처럼....... 그런 삶을 꿈꾸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