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세 끼가 내 몸을 망친다
이시하라 유미 지음, 황미숙 옮김 / 살림Life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하루 세끼가 내몸을 망친다라는 소리는 솔직히 충격이었다
우리네는 보통 이렇게 이야기한다..'하루 세끼를 거르지 않고 잘 먹어야 건강하게 장수한다' 라구..
그래서 한끼를 굶으면 늙어서 굶은 횟수의 배만큼 고생한다라면서 설도 아닌 설을 되뇌이곤 한다
그러면서도 과식이 좋지 않다는 것과 소식을 해야 한다는 소리를 꾸준히 하긴 한다

근데.. 이 책에선 굶어야 면역력이 더 많이 생겨 병을 이겨내고 몸을 가뿐하게 한단다
이 책만 읽었다면 그게 일본의 경우엔 그럴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했겠지만
얼마전에 다른 책에서도 약을 먹어서 오히려 몸을 병나게 한다라는 말을 들은지라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정말 먹는 양을 줄여야 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일본에서는 이시하라 님의 센터가 있는 걸로 나오면서 하루 한끼씩 줄여나가는 이들이
병을 이기고, 몸무게를 줄이고 건강을 찾는 이야기를 실화로 게재하고 있다
그 분들이 처음엔 많이 불편했지만 시간이 가면 갈수록 몸이 가뿐해짐을 느낀단다.

이 책을 읽는 동안에 우리 회사 사람들에게 하루 한끼를 먹고도 산다라고 했더니 큰일 날 소리를 한다네..ㅎ
아무 일도 안하는 사람이 하루 한끼만 먹는 거라며, 노동을 하는 이들은 그러면 안된다면서
음식 먹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이 설파를 하신다..이 책을 보여줘..말어...

먹는 것을 낙으로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이책이 주는 효과가 덜 할지 모르겠지만
이젠 거의 나이을 먹어가는 과정인지라 이 책을 읽게 되면 생각도 변하리라
세상엔 지금 먹거리와 전쟁을 시작한 것 같다. 공산품들이나 모든 음식물들이 방부제나 몸에 유해한 것들이 많이 함유되어 오히려 먹으면 먹을수록 몸이 좋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래서 지금도 유기농 파동이 일어나고 있지 않는가.. 

위가 가벼우면 몸도 가볍고 정신도 맑아진다는 말엔 난 동감한다.
위에 뭔가가 가득하면 우선적으로 잠이 와 정신이 몽롱해지고 사람 몸도 함께 나른해지면서
움직이기 싫어하며 모든것에 의욕을 잃어 쉽사리 포기란 것을 한다
요즘 귀차니즘이 팽배한 것도 다 먹는 것을 좋아하고 운동을 하지 않아 일어나는 현상일 것이다

하루 한끼를 먹되 아침과 점심은 당분과 가벼운 음식으로 섭취하고 저녁엔 편하게 먹으란다
보통 다이어트랑은 조금 다른 현상이긴 하지만 낮에 움직여야 하는 이들에게 위를 가볍게 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 저녁에 먹은 음식으로 자면서 에너지를 몸에 돌리는 작용을 하는 것인가 보다.

그러면서 운동을 열심히 해야 한단다. 운동은 우리네 당을 근육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운동이 없음 근육이 줄어들고 그럼 나쁜 것들로 혈관이 채워진단다.

소식 + 운동 = 건강 , 장수
이 공식은 모든 사람이 웬지 받아 들여야 할 것 같다

땀을 충분히 배출해야 아픈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그러지 않았을 경우 수독 증상이 나타난단다
그 수독증상을 나타나는 예가 여러가지 있는데 내눈엔 편두통만 보이네.
난 편두통이 심한편이다. 편두통은 구토를 동반한단다.
이것은 위액이라는 수분을 배출하여 두통을 완화 시키려 하는 거란다

이것이 내가 충분이 수분을 배출하지 못해서 일어난 현상이란다
충분히 배출하고 다시 섭취해야 하는 것이 수분이라네...에구 운동...운동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