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리아 불임 클리닉의 부활
가이도 다케루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이 가상의 소설이긴 하지만 지은이 가이도 다케루 님이 의사이면서 작가인지라 완전히 가상만 아닌 것 같아 어찌 보면 현실을 반영한 듯한 책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우리 주위에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닌가 생각한다..불임이라는 타이틀은..
애기를 가지고자 하는 사람들은 못하면서, 놀이로 장난치다 원치 않는 임신을 해서 그 애들이 멀리 가기도 한다. 그런 현상을 볼때마다 공정치 않다는 걸 매번 느낀다..그래도 어쩌랴..우리는 인간인 것을..
이 책은 일본의 산과 부인학과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우리나라는 산부인과가 거의 같이 있어 첨엔 오기인가 생각했었는데
읽어 가다보니 산과와 부인과를 각자 떨어뜨려놓고 구분을 짓는다는 것을 알았다
원칙적으로 따지면 산과와 부인과는 엄연히 다르긴 하지만
엄마가 되어 애기를 낳으려 가면 산과와 부인과 그리고 소아과가 함께 있지 않으면
얼마나 불편할지는 누구나가 다 알고 있을 것이다
나도 아이를 낳았고 그 병원에서 산부인과와 소아과가 달랐던 것 같다
그래서 나와 아이의 건강에 대해서 두분의 의사가 와서 따로 이야길 하고
랑이는 접수도 따로 따로 하느라 많이 힘들어 했었다
산부인과와 소아과가 떨어져 있어도 이렇게 불편한데
산과와 부인과가 떨어져 있음 얼마나 불편할지는 생각하지 않으련다
산과와 부인과가 떨어져 있으니 지금 산부인과 병원에서도 임신했을 때 진료는 하면서
분만을 하지 않는 병원이 늘어가는 것일 것이다
분만을 하면 예기치 않게 사고도 많이 생길 것이고 갖춰야 할 장비도 많다
그러니 신경을 써야 하는 의사일수록 분만을 하지 않음 진료해주면서 돈은 벌고
신경은 덜 쓰는 좋은 시스템이지만 산부는 엄청 힘들다
임신했을 때 진료를 하면서 보여주기 싫은 부분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그걸 진료하는 의사와 분만하는 의사들에게 진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 되니까...
또 임신했을 때 병원 선택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그걸 분만 할 병원을 다시 선택해야 하는 이중적으로 힘들게 하는 일이다
책 중에 불임과 그에 따른 인공수정과 대리모에 관해서 나온다
불임이 따르면 인공수정이라도 해서 아이를 만들어야 하는데는 누구나가 찬성을 할 것이다
아이를 가지는 것이 이렇게 힘든지...그 아이가 정상아로 태어나길 산부라면 얼마나 빌고 또 비는지 태어난 아이가 손가락 발가락이 열개인지 눈 코입은 있는지를 먼저 살피는 산부가 얼마나 많은지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인공수정되는 과정또한 쉽지 않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다
거기다 자궁적출로 인해 아예 잉태하는 그 당연한 과정마저도 못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생각을 못했다
보통 자궁적출하시는 분들이 나이가 어느정도 있는 분들만 격는 일이라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요즘엔 점점더 나이가 어린분들에게도 자궁적출해야만 하는 병이 생기니까 그 사람들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그렇다면 그 사람들은 당연히 대리모를 통해야 할 것이다
예전에 씨받이를 보면서 있을 수 없다라고 생각했는데 이 대리모는 정당한 건지..
씨받이는 아예 내 자식이 아니지만 대리모는 내것이 들어가니 괜찮은 건지
그래도 열달동안이나 다른사람의 배에 들어가 살면서 그 사람의 환경을 많이 닮았을텐데
그래도 내 아이가 되는 건지..........한참을 생각했지만 결론은 글쎄요다.........
아이를 가질 수 없는 엄마는 유괴라도 하고 싶은 기분이라니까 그 방법을 인정해줘야 할지
아이 만드는 것까지 우리 맘대로 하면 저 높고 높은 곳에서는 화내시지 않고 봐 주실지 ...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다...앞으로 우리의 숙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