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흔들리는 세계의 축 - 포스트 아메리칸 월드
파리드 자카리아 지음, 윤종석 옮김 / 베가북스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새로운 경험의 책이다
이런 책이 있다는 것에 일단 놀랐다
아니 경제에 관해서 완전 문외한이란 소리겠지 내가...
단순한 오렌지책 하나가 사람들의 가슴에 파고들 것이다
이책은 경제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면서 아주 쉽게 적어나간다
복잡하지도 않고 문외한인 내가 읽어도 이해 할 수 있도록 어렵지 않게...
포스트 아메리칸 월드 : 기분은 나쁘지만 미국이란 나라가 이미 앞서나가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 후에 미국이 아닌 다른 세계가 미국보다 경제적으로나 체제적으로나 모든 것이 앞서나갈때
미국이란 나라가 뒤에 남아 처질 수 밖에 없다는 것..(제대로 설명되었는지...ㅜ)
오늘날의 국가는 그 어떤 나라도 완전히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다. 다른 나라들의 힘과 영향력의 증가도 받아들이고 이해관계가 두드러지더라도 받아들여야 한다.
예전엔 이런걸 몰랐나 보다.. 그냥 한 나라의 주체가 되면 그 나라가 힘을 키우면서 그렇게 살아가면 되는 줄 알았다.. 다른 나라 눈치 안보면서...정치계가 미국이란 나라에 눈치 볼때...일본을 욕하면서도 아무것도 못할때..그런데 그게 아니었나 보다.. 일본이란 나라는 미국이란 나라에 겁을 줄 정도로 힘이 있는 나라더라 그래서 독도문제도 더 크게 받아들여진 것이겠지.. 나라는 힘이 있어야 한다는 걸 또 한번 느꼈다
미국이란 나라가 3세계로 부터 경제적으로 약간의 타격(?)을 받고 있지만..
3세계의 대표나라가 인도와 중국이란다...
먼저 중국이란 나라는 워낙 거대하기 때문에 중국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중국의 행동은 세계에
아주 큰 변화를 줄 것이고 지금도 변화를 표현하고 있다.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곳곳에 힘과 경제를 함께 하면서 대형으로 굳혀나가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워낙에 방대하기 때문에 아직은 경제력이나 군사력이 미국보다 앞서지는 않지만
그 저력을 무시하지 못하고 되도록이면 두나라가 서로 부딪히지 않으려고 힘쓰고 있다.
두번째로 인도...인도는 가장 빠르게 성장한 나라로 주목받고 있다.. 인도도 인구가 워낙 많기에
일단 움직이기만 하면 지구촌 전역에 길게 그림자를 드리울 것이란다..
지금 보이는 것은 공항이 초라하고 도로는 망가지고 삭막한 슬럼가와 가난한 마을이 인도이고
전 세계 빈민의 40퍼센트가 사는 곳이지만 다른 어떤 아시아 국가보다 더 많은 억만장자가 살고 있는 나라이기도 하다
중국이라는 나라는 국가가 주체되어 발전해 왔다..인도는 완전 민주주의 국가이다.. 정부는 잠을 자도 경제는 성장한다라는 말이 말해주듯이 완전 국민에게 경제적 권력을 위임한 나라이다..
인도가 당장에는 중국을 앞서나가지는 못하지만 자신의 이점들을 충분히 활용하게 되면 언젠가는
자신에게 유리하게 사용해 세계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점이란 것은 성장하는 방대한 경제, 매력적인 정치적 민주주의, 활력 있는 세속주의 모델,
동서양을 아우르는 빈틈없는 지식, 미국과의 특별한 관계이다..
이렇게 3세계가 미국을 위협(?)하고 있다..그게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그래서 미국은 1위의 자리를 지켜야 한다
예전에 영국이 미국에게 세계의 권위를 물려준 것 처럼 물려줄 수는 없다
미국에 대한 온갖 우려가 있지만..하루 아침에 된 미국이 아니기에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의 중심에 미국이란 나라가 그동안 존재해 왔다..앞으로도 당분간은 세계에 우뚝 서서 힘을 보이고 있을 것이다
그속에서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대에서 어떻게 힘을 키워 나가야 할지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