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책감이 문제가 되는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죄책감은 사람들의 마음속 깊숙한 곳에 터를 잡고 ‘내적 어머니 inner mother‘라불리는, 자신에게 혹독한 비판자가 된다. 내적 어머니는 실제 어머니와는 다르다. 부모 자체가 아닌 ‘세상의 눈‘이다. - P20

상처가 있다는 건 같은 상처를 가진 사람의 고통을 이해하고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는 뜻이다. 한 번도 아파 보지 않은사람은 타인의 아픔을 이해하지 못한다.  - P27

아프면 아프다고 말하는 아이, 하기 싫으면 하기 싫다고분명하게 말하는 아이는 아직 괜찮다.
그런 아이의 마음을 알아주고말해주어 고맙다고 칭찬하면상처를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 P28

내 안에는 좋은 어머니도 나쁜 어머니도 있음을 인정하고 적당한 선을 유지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이런 인간적인 어머니만큼 아이에게 안심되는 존재는 없다. 오히려 완벽한 어머니, 작은 실수조차 용납하지 않는어머니가 아이에겐 더 숨 막히는 존재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P35

당신이 타인에게 보내는 메시지를의식하고 있다면 요구이고,
절반 정도 의식하고 있다면 호소이다.
전혀 의식하지 못하는아니 의식하고 싶지 않은 메시지는증상이라 불린다. - P36

약물이라는 다소 극단적인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보통 사람도 크고 작은 ‘증상‘들을 가지고 있다. 내가 습관적으로 하고 있는행동이,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말이 아픈 마음이 전하고자 하는메시지는 아닐지 살펴보자. 그것을 포착하고 언어화한다면 내가가진 문제의 핵심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P39

이런 비생산적인 자기대화를 변화시켜 공회전 사이클에서 빠져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답은 간단하다. 당신이 친구에게하듯 자신을 대하면 된다. - P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