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회계사처럼 공모주 투자하기 - 저성장, 저금리 시대의 가장 확실한 재테크, 공모주 투자의 모든 것
박동흠 지음 / 트로이목마 / 201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주식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수익을 극대화 하는 방법은 상장 전에 주식을 매입한 뒤 상장 직전이나 직후에 주식을 매도하여 고수익을 달성하는 투자 방법이 있습니다. 투자정보가 공개되기 전 주식을 매입하여 되파는 단순한 방법을 가지는 이 주식 투자 방법을 비상장주식 투자라 합니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들은 투자하고자 하느 기업의 내부 정보를 얻기가 어려우며 실제 알고 있다도 주식을 매입하는데 있어서 개인 투자자가 쉽게 접근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럴 때 개인이 비상장 주식에 투자 하는 방법이 바로 공모주 투자라 할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정보라는 것은 소수가 아는 경우에 그 가치가 인정이 된다는 점과 높은 경쟁률로 인하여 공모주 투자로 인한 수익은 생각한 것보다 미미한 경우가 많습니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게 없다 라고 하는 말이 바로 공모주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입니다..설령 높은 경쟁률을 뚫고 투자를 한다 하여도 이자 비용과 수수료를 제외하는 경우 실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미미하기 때문입니다...이처럼 우리가 알고 있는 공모주 투자에 대해서 조금더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는 책이 이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모주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숫자에 대해 누구보다 밝아야 한다는 것입니다..특히 숫자계산에 능해야 하며 엑셀을 능숙하게 다룰 줄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은 기업이라 하여도 투자 설명서가 200페이지가 넘기 때문에 투자 설명서를 제대로 볼 줄 아는 능력 또한 함께 요구가 됩니다.



회계사가 왜 공무주 투자에 관한 책을 썻을까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그건 회계사가 하는 일이 바로 기업이나 공공 기관 그리고 정부기관의 재무보고나 상담을 하는 일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그래서 회계에 모르는 일반인들보다 기업 정보에 접근하기가 용이하며 똑같은 투자 설명서를 보더라도 그 안에 담겨진 기업의 정보들을 더 많이 읽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그래서 회계사의 이야기를 통해 담겨진 이야기에서 공모주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돌아가지 않고 지름길로 갈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거 (아니)야 풀빛 그림 아이 54
크리스토퍼 와이엔트 그림, 강소연 글 / 풀빛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그림책은 글자를 몰라도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그림 속에 담겨진 이야기 속에서 무언가를 얻게 되고 양보가 무엇인지 함께 나누는 것이 무엇이며 배려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해 준다..


<내꺼(아니)야> 이 책은 전형적은 우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혼자서 뜨개질 하는 오렌지색 털복숭이 누나와 보라색 조그마한 털복숭이 동생...누나는 커다란 노란의자에 앉아서 여유롭게 뜨개질 하면서 흥얼 흥얼 거리게 된다..그러나 그 여유로움도 동생이 등장하는 순간 잃어버리게 되고 누나가 앉은 의자에 대해 내꺼라고 우기는 동생의 모습에 누나는 내가 먼저 앉았으니 내꺼라고 우기고 동생은 아까전에 내가 먼저 앉았으니 내꺼라고 하면서 아웅다웅 다툼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서로의 다툼에 동생은 노란 의자보다 더 좋은 팽글팽글 도는 자그마한 의자를 가져 오게 된다.,.그러나 그 작은 의자가 누나에게 맞을리가 없는 법..붕 날아서 의자에 앉자 마자 의자는 곤두박질 치게 되고 노란의자에 앉아 있었던 동생에게 다시 나오라고 윽박지르게 된다..


그러나 처음에는 누나의 말이 통하였지만 지금은 통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서로가 서로 내꺼다 아니다 내꺼야 하는 순간 둘다 의자에서 나와 맨바닥에 철푸덕하게 되고는 노란의자는 또다른 털복숭이 차지가 되고 만다..


이 그림책이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그건 하나밖에 없는 물건에 대해서 내꺼다..아니다...아웅다웅하는 우리들의 어릴 적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그것을 먼저 가지려고 다툼하다 보면 누군가는 울게 되고 결국 그 물건은 둘 다 못가지게 되면서 부모님의 손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이런 경우 서로 욕심내다 결국 OO만 좋게 되어 버렸다는 표현을 우리가 하게 된다..


이런 이야기는 비단 형제나 자매그리고 남매에게만 해당이 되는 건 아니라 할 수 있다..사회에서 밖에서 서로 감정이 상한 사람이 있을때 어떤 좋은 걸 보면 그걸 서로 가지려 하고 다양한 경우의 수 중에서 최악의 수를 두게 된다...조금만 양보를 하면 서로가 반을 나누어 가질 수 있는데..서로가 먼저 가지겠다고 하면 둘다 못 가지게 되고 기회만 엿보고 있던 엉뚱한 사람이 가지게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버드 도서관 24시 - 하버드 학생들을 통해 삶에서 배워야 할 소중한 원리
정의석 지음 / 북씽크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버드 대학교 입학과 졸업은 오래전부터 우리에게 선망의 대상이 되어왔다..어린 시절 막연하게 보았던 영어 자막이 아닌 성우들의 목소리가 담겨져 방영되었던 미드 <하버드의 공부 벌레들>에서 실제의 하버드 생의 실생활은 미드보다 더 힘겨운 생활을 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으며 때로는 우리들처럼 수업시간에 꾸벅꾸벅 조는 하버드생들 또한 있다는 걸 알 게 되었다..이처럼 하버드생이 가지는 장점은 대한민국에서 전공에 상관없이 출세할 수 있는 지름길로 여겨지게 되었다..


우리가 알고 잇는 유명한 하버드생은 누구일까. 그건 지금 현재 미국구대통령이었던 오바마 대통령과 모녀가 하버드생인 서진규-성아 모녀의 이야기,그리고 미스코리아 금나나,여기에 하버드 중퇴생 페이스북 창업을 한 마크 저커버그와 빌게이츠가 대표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책에 담겨진 이야기 중에서 하버드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종신교수가 된 석지영 교수의 이야기가 눈길이 갔다..우리는 그동안 그녀의 이력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였다..물론 그녀가 하버드에 입학한 사실도 몰랐으며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다...종신교수가 되고 언론에 부각되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성공 비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석지영 교수는 스스로 종신교수가 될 수 있었던 건 바로 자신이 가진 부족함이라 이야기 하였으며 부족하였기에 남들보다 더 노력하였으며 시행착오를 통해 어느순간 옥표에 다다를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우리는 공부를 해야 하는 그 이유를 발견하게 된다...나 자신이 완전하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 공부에 손을 놓게 되며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나 자신을 깨닫는 것 그것이 바로 공부를 하는 이유라는 걸 알 수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애플의 스티브 잡스...우리는 스티브 잡스는 기억하지만 데니스 리치의 존재에 대해서 기억하지 못한다..그에 대해서 C언어 개발자,유닉스 개발자라는 프로필을 설명하면 그제서야 아하고 관심을 가진다면 컴퓨터 프로그래밍 코딩을 해보았던 사람이라 할 수 있다.컴퓨터 전공자라면 모든 프로그램의 기본은  C언어라는 걸 알 수 있으며 C언어를 공부하며서 수학 알고리즘을 짜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특히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소수 계산과 월주율 파이계산법,2의 거듭 제곱승과 같은 단순한 계산은 C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걸 알 수 있다.지금 현재 다양한 컴퓨터 언어 프로그램의 기본이 되는 C언어..그 C언와와 유닉스로 인하여 애플의 컴퓨터가 만들어 질 수 있었으며 아이폰이나 이이패드가 탄생 될 수 있었던 것이다..물론 현재 일반인이 쓰는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서버급 컴퓨터에는 여전히 유닉스가 쓰여지는 이유는 윈도우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지 못한 안정성을 유닉스가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책에는 이처럼 하버드 출신이거나 빌게이츠와 마크주커버그와 같은 하버드 중퇴생들의 이야기,그리고 우리가 잘 알지 못하였던 하버드 출신 인물들에 대해서 알 수 있으며 그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이라고 말하지 마
테레사 카푸토 지음, 이봄 옮김 / 연금술사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테레사 카푸토의 에세이다.어릴 적부터 남과 다른 삶 속에서 불안과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적인 고통을 안고 살았던 테레사는 어느날 자신이 영혼과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되고 영매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배워 나가기 시작한다..그럼으로서 세상 속에서 영매로서의 삶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고 자신을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아픔과 고통에서 벗어나게 죽은사람과 산사람을 화해 시켜주는 역할을 시작하게 된다..


우리는 영매라 하면 편견 속에 살아가고 있다...무언가 신기에 들린 것 같은 사람,영매로서의 삶을 추구하지 않으면 세상과 이별할 수 있는 운명을 가진 사람들,,그런 사람들을 영화속에서 느꼈으며 특히 영매를 무당과 영관짓는 경우도 있다..그렇지만 실제 영매가 하는 일은 무당이 하는 일과 다르며 산 사람이 죽은 영혼이 이어진 경우 중간에서산 사람에게 죽은 이의 영혼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산 사람이 정상적으로 살아가게끔 도와 주게 된다.


죽은 사람과의 마지막 순간...누군가 세상을 떠나면 우리는 그 마지막 순간을 함께 하기 위해서 죽은이와 마지막을 함께 하려 한다...작년 할머니께서 돌아가시기 직전 병원에서 인공호홉기를 통하여 가족들이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며 저 멀리 가족들이 모두 모인 그 순간에 할머니는 돌아가셨으며 가족들 앞에서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는 경우 가족들은 서로가 서로를 위로하며 치유를 받게 된다..그리고 가족이 돌아가시게 되면 마지막 순간에는 그분이 살아 계시던 곳에서 그분이 쓰던 물건들을 불에 태워 이승과 마지막 작별의 순간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사고로 인하여 마지막을 함께 하지 못한 경우나 자신의 잘못으로 인하여 누군가 죽게 되었을때 느끼는 감정들,즉 살아있는 사람은 지켜주지 못하였다는 그 죄책감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으며 산사람은 영매를 통하여 자신의 소중한 사람의 마지막 이야기를 들으려고 한다..


책을 읽으면서 영혼과의 단체채널링이 무엇인지 몰랐다 물론 영혼과의 리딩도 몰랐으며 두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산사람과 죽은 영혼과의 교신이며 영혼의 메시지를 읽는 거라는 걸 책을 덮은 뒤에서야 알게 되었다.그리고 테레사는 개인 리딩 뿐 아니라 단체 리딩을 통하여 다양한 방식의 영혼과의 만남을 가진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그동안 다양한 에세이를 읽어보았다..그동안 읽은 에세이가 여행에세이거나 누군가의 성공담이 담겨진 에세이였다면 이 책은 영매가 무슨 일을 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삶은 어떠한지 알려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영매 또한 항상 스스로 자신의 컨디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테레사 또한 힘들때면 가까이 하는 멘토가 있었으며 자신에게 영매로서의 삶을 인도한 스승이자 멘토 팻롱고를 통해서 영매로서의 자신의 삶 또한 계속 성장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하우에서 온 편지
앤 부스 지음, 김선영 옮김 / 책담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그리고 우리가 모르는 역사...이 책을 통해서 우리의 역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되돌아 보았으며 한편 올바르지 않은 역사에 대해서 옳다고 하는 우리들의 역사 인식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낄 수 있었다.


220페이지로 이루어진 이 책에 대해서 처음 가볍게 시작하였다..그렇지만 무언가 여느 책과 다른 묵직함이 전달되었으며 그 안에 담고 있는 역사 이야기 속에서 유럽에서 바라다보는 제2차 대전에 대한 인식을 단편적으로 느낄 수가 있었으며 그들이 나치를 바라보는 생각과 우리가 일제를 바라다 보는 생각을 비교해 보았다..


이 소설은 다하우라는 우리에게 낯선 곳으로 우리를 인도하고 있다..우리에게는 낯선 곳이지만 독일 히틀러 치하에서 제일 먼저 세워졌던 독일의 유대인 강제 수용소..그안에 감추어진 제시존스의 할머니 엘리자베스 존스의 감추어진 비밀 이야기를 알 수가 있었으며 과거의 역사 속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걸 알 수가 있었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 제시 존스 그리고 제시의 절친 케이트 올리버가 나온다...두 사람은 친하면서 제시가 순간 순간 하는 말에 케이트가 상처를 받으면서 지낸다는 걸 알 수가 있다...그리고 소설속에서 케이트가 등장하는 이유는 과거 히틀러가 저질렀던 장애인 차별에 대해서 이야기를 꺼내기 위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물론 여기에 또다른 인물 닐 아저씨 또한 장애인으로서 사회 속에서 차별 속에 살아가고 있으며 자신의 힘겨운 삶에 대해서 그리고 자신이 하던 일을 외국인 노동자가 대신하고 있는 것에 대해 불평하며 살아가는 걸 알 수가 있다..


이 책의 전체적인 이야기는 제시의 할머니 엘리자베스가 몸이 안좋아지면서 이야기가 시작이 된다..몸이 아프면서 운전조차 못하게 되어버린 할머니의 물건 중에 오래전 할머니의 편지와 사진을 찾게 된다..그리고 그 안에 감추어진 할머니의 오래된 비밀들.여기에 학교에서 독일인 교사 본 하퍼 선생님을 통해서 그들이 간직한 역사 이야기들.다하우 강제수용소에서 살아난 미리안 레비의 이야기에서 그들의 역사를 느낄 수가 잇었으며 그들은 진심으로 자신의 숨겨진 과거에 대해 부끄러워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제대로 청산되지 않은 역사로 인하여 감정대립만 라면서 갈등을 거듭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잇으며 일본의 역사 그 자체에 대해 무심함을 드러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그러한 역사에 대한 무심함은 지금 대한민국 근현대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왜곡하며 진행되고 있다는 걸 느낄 수가 있다...그리고 우리가 아는 에드워드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에 담겨진 역사에 대한 가치는 실종된 채 현재 진행형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