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사 - 칼라하리 사막의 !쿵족 여성 이야기
마저리 쇼스탁 지음, 유나영 옮김 / 삼인 / 2008년 9월
평점 :
니사는 이 책의 화자이다.
이름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도 그렇지만 그녀는 여자이며 !쿵족이라는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의 여인이다.
책에서도 언급되었듯 !쿵족은 부시맨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영화 부시맨에서 하늘에서 떨어진 콜라병을 들고 다니거나 뛰고 걷는 게 일상인 아프리카 원주민이다.
그런 아프리카 원주민을 상대로 마져리 쇼스탁은 인류학 취재를 위해 !쿵족의 여러 여성과 인터뷰를 했고
그 와중에 니사라는 여인과 가장 많은 인터뷰를 하게 되었으며
그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쳐 나간다.
니사는 !쿵족 여성의 이야기다.
그녀들이 태어나면서 죽기까지의 생활과 생각을 담아낸 것이다.
여자로 태어나서 겪게 되는 삶의 이야기들.
그리고 서양인들과 다른 그녀의 삶과 생각들.
물론 우리나라 사람들과도 많이 틀리다.
일단 그녀들은 자유롭다.
무엇에서 자유로우냐고 한다면 생각에서의 자유가 느껴진다.
책임감도 매우 강하지만, 하고 싶은 게 있고 하기 싫은 게 있다면 확실히 구분되어 행동한다.
지금이야 여성의 지위나 행동이 많이 달라졌지만,
이 책이 쓰여진 시대에서는 서양에서 조차도 여성의 위치가 남성보다도 낮았다.
여성은 단지 자식을 출산하고 양육하는 데만 전념해야 하는 위치가 팽배하던 시대였다.
하지만 쿵족 여성은 다르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여성의 주도하여 채취하고 영위하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여성의 목소리도 크고 행동에도 거침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완벽히 남성보다 위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거의 평등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쿵족이라서 원주민이라서 서양이나 동양인처럼 문화가 발달된 곳에 사는 사람들이랑 많이 틀린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그들도 우리랑 똑같은 생각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리고 대화하는 것도 먹는 것에 대한 고민도 그리고 사람대한 고민도 거의 비슷하다 할 수 있다.
일단 눈 여겨 볼 것은 성에 대한 자유로움이다.
어떤 면에서는 너무 개방적이어서 우리네 정서와는 많이 틀린다는 걸 알 수 있다.
단편적으로 몇 차례에 걸친 결혼이나 애인들과의 관계 그리고 거리낌 없는 잠자리들에 대한 이야기.
물론 도의적 책임이나 양심적인 면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다.
서로 질투하기도 하고 싸우기도 하고 헤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성에 대한 자유로움은 대단히 놀랄 만 하다.
단지 종족 번식에 대한 이유만 아니라 그들도 성에 대하여 즐기고 또 그에 대한 지식도 갖추고 있다는 게 놀랍니다.
월경에서 임신까지 그리고 출산과 육아까지 그들도 우리랑 크게 다를 바 없다.
문화가 다르므로 인해서 그 자유로움이 틀리지만,
어느 게 더 좋은 것이다 라고는 함부로 판단 할 수 없다.
우리 문화는 우리 문화로서의 장,단점이 있고 !쿵족의 문화는 쿵족 문화로서의 장,단점이 있는 것이다.
성에 대한 관점 또한 마찬가지인 것이다.
우리는 이제까지 우리가 알고 배우고 생각한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면 맞는 것이다.
그리고 쿵족은 그네들 삶에서 그게 일상적이기 때문에 그들의 생각이 맞는 것이다.
쿵족하면 대단히 마른 체격이 떠오른다.
물론 처음 생각에는 못 먹어서 그렇다 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들의 생활을 엿보면서 생각이 많이 달라졌다.
수렵채취와 사냥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쿵족,
그 수렵채취와 사냥을 위해서 매일 먼 거리를 걸어 다니는 !쿵족.
그들이 어떤 면에서 우리들 보다 휠씬 건강하다는 것이다.
충분한 칼로리의 섭취와 운동 그리고 스트레스가 없는 삶.
이런 면에서 !쿵족은 휠씬 건강하다.
하지만 원초적인 질병에서는 자유롭지 못하다.
폐렴,결핵,말라리아나 임질 같은 성병까지.
현대의학에서 별것 아닌 질병으로 치부되는 병으로 인해 그들은 죽는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도 !쿵족이 건강하다 우리가 건강하다 판단하기 힘들다.
충분히 좋은 의학과 식품을 섭취하고 있는 우리들은 또 다른 문제에 직면했다.
과학이 발달 할수록 고치기 힘든 병이 더욱 생겨나고,
특히 스트레스성 질병이 엄청나게 늘어난다.
특히 암 종류들은 !쿵족보다는 우리들이 휠씬 걸리기 좋은 환경이다.
!쿵족의 생로병사 또한 그러하다.
아무리 종교를 신실하게 믿고 따른다 할지라도 누군가가 죽는다는 건 매우 슬픈 일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사람을 추억하면서 지금은 그 사람을 볼 수 없다는 게 가장 슬픈 게 아닌가 한다.
!쿵족 또한 죽음의 부분에서는 그러하다.
충분히 슬퍼하고 아파한다.
물론 약간은 틀리지만 말이다.
늙고 병들고 죽는 거에 대해서는 우리랑 거의 똑같다고 보면 된다.
치료하는 방법이 틀리고 슬퍼하고 애도하는 법이 틀릴 뿐이다.
사람은 모두 생로병사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1970년대에 쓰여진 이야기다.
시간적으로는 40여년이 흘렀다.
그 정도 시간이면 현재 시대의 문화발전 속도는 엄청 빠르게 진화한다.
!쿵족 또한 이 부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1,2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유럽 국가들의 아프리카 분할 전쟁 후 모든 아프리카 원주민이 그렇지만,
!쿵족 또한 변화를 겪게 된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그들의 삶은 크게 바뀌게 되었다.
수렵채취의 생활이 아니라 정착하면서 사는 삶으로 바뀌게 되었다.
어쩔 수 없는 문명의 혜택이거나 파괴의 길을 같이 걸어가는 것이다.
무엇이 옳다 그르다라고 판단 할 수 없다.
어떤 것이 !쿵족을 더 행복하게 해준다고 판단 할 수도 없다.
과연 예전처럼 수렵채취를 하면서 자유롭게 사는 게 좋은 건지,
지금처럼 한곳에 안착하여 안정된 노동을 하면서 문명의 혜택을 받는 게 좋은 건지,
그건 지금 살고 있는 !쿵족의 선택이고 고민거리다.
문화 생활을 영위한다고 해서 모든 것이 행복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먹는 걱정 아픈 걱정 없는 시대에 사는 우리들이 더 큰 질병을 앓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건 바로 물질 만능으로 인한 정신의 퇴행이다.
지식습득이나 건강에 대한 과학의 발달은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지만,
그 이면의 상실은 매우 크다.
물론 !쿵족처럼 수렵채취의 삶을 살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최소한 !쿵족처럼 욕심내지 않으면서 서로 나누고 사는 삶이 휠씬 행복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대가 더욱 발전 할수록 더욱 동반되어야 할 것은 정신적인 발전도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